민주당 노무현(盧武鉉), 국민통합 21 정몽준(鄭夢準) 후보간 단일후보 결정에 따라 양당간 향후 대선공조가 주목된다. 우선 당초 양당 합의에 따라 정 후보가 선대위원장을 맡는 한편 공동선대위 구성 등 통합가능한 대선조직을 공동 운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통합 21이 급조 정당으로 자원봉사자가 주축이 된 조직력면에선 상당히 취약, 대대적인 공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지난 97년 대선을 앞둔 `DJP 공조'의 경우 `공동.동등의 원칙'을 적용, 공동선대위를 구성하고 산하에 선대위의장-공동수석부의장-부의장단-선거대책회의-중앙상무위-선대공동본부-실무조정회의 등의 직제를 구축했다. 당시 대변인은 분야별 공동제로 운영했고 `총재협의회'도 구성, 양당 지도부간조율에 무게를 실었다. 그러나 통합 21의 경우 한정된 인적자원과 조직적 취약성 등으로 `DJP 공조' 당시의 규모를 형성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제약이 있다. 이에 따라 중.소규모 공조를 통해 양당의 `의지'를 천명하는 정도에 머물 공산이 크다는 것이 정치권 관측이다. 공조 방식의 경우 정 후보가 "노 후보가 대선에서 당선될 수 있도록 열심히 노력할 것"이라고 밝힌 만큼 이런 토대하에서 결정될 것이라는 분석이 유력하다. 정, 노 후보와 `투톱 체제'를 구축, 유세장을 누비는 상황을 예상할 수 있으며,이같은 협력 시나리오는 후보단일화의 시너지(통합) 효과를 높이는 원천이 될 수 있다. 양당 관계자들에 따르면 우선 `정책 공조' 모색을 시작으로 `접합'이 용이한 조직부터 공동체제를 구성할 가능성이 높다. 양당은 이에 앞서 지난 22일 후보단일화에 합의하면서 "정치개혁과 경제성장 등양당이 공동 추구하는 정책과 공약 실현에 노력한다"고 천명한 바 있다. 통합 21측 정책관계자는 "우선 정책의 공통분모부터 산출한 뒤 분권형 대통령제등 고난도 정책에 접근해갈 것"이라고 밝혔다. 조직통합의 경우 선대위 부의장단과 대변인, 선대본부, 지역별 선대위 등 대선과 직.간접적 연관성이 높은 조직이 우선 공동운영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이고, 연설원 지원 등 `선거 부조'도 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선 공조는 대선후보 공식등록(27,28일)을 전후해 본격 논의될 것이라는 게 양당 관계자의 설명이며, 빠르면 이달말부터 가동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통합 21내 일부 당직자의 경우 당의 구심력 이완을 우려, 선언적 의미라도 당대당 통합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어, 향후 양당의 공조가 어느수준까지 발전할 지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 황정욱기자 hj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