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년말 국제통화기금(IMF) 사태와 같은 금융위기를 조기에 포착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됐다. 특히 이 시스템에 따른 국내 은행업의 위기 발생 가능성은 작년 6월말 현재 `요경계' 상태인 52∼53%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IMF 경제위기의 재발을 막기위해 향후 금융부문의 위기를 조기에포착할 수 있는 `은행산업에 대한 리스크조기경보모델'을 한국금융연구원과 공동으로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이 모델은 지난해 11월부터 1년간에 걸쳐 국내 은행 경영지표와 아르헨티나, 칠레 등 금융위기 경험국가, 미국, 영국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거시경제지표 등을 활용해 개발됐다. 금감원은 앞으로 1년간의 실제검증과정을 거쳐 2003년부터 분기마다 은행산업의위기발생 가능성을 확률로 표시해 50% 이상이면 `요경계', 75% 이상이면 `위기임박'으로 간주, 단계별로 경고조치를 할 계획이다. 이 모델을 통해 연도별로 위기발생 가능성을 측정한 결과 금융위기가 실제 발생했던 97년말 100%에서 98년말 84∼85%, 99년말 70%로 점차 떨어졌으며 작년 상반기말에는 52∼53%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단계별로 개별은행에 대한 감독 강화, 대손충당금 적립 등의 조치를취하게 된다. 각 은행들은 이 시스템과 별도로 개별은행의 경영지표를 통해 부실가능성을 포착할 수 있는 `은행 리스크 조기경보모델'을 1년간의 실제검증과정을 거쳐 지난해 12월부터 활용하고 있다. 시스템 개발자인 이원경 금감원 은행경영분석팀 박사는 "IMF의 조기경보모델의적합성을 우리 시스템과 비교 검토해 보완 필요성이 있는 경우 우리측 의견을 IMF에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주호기자 joo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