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화해무드를 타고 자원 및 에너지분야 협력이 급물살을 타고있다.

남.북한이 공동으로 한반도 경제시대를 열어가는 데는 이들 분야 협력이 가장 시급할 뿐 아니라 양측이 비교적 쉽게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분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우선은 북한의 부족한 전력난을 해결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는 중이다.

북한 경제발전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의 하나가 전력부족인 만큼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초점을 맞춰 다양한 협력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전력 협력의 대표적인 사업으론 북한 함경남도 신포(금호지구)에 건설중인 1백만kW급 경수로형 원자로를 꼽을 수 있다.

현재 발전소 부지 조성사업을 끝낸 상태로 본공사 착공을 기다리고 있다.

지난 95년 한.미.일 3국이 중심이 돼 국제컨소시엄인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를 구성한 뒤 97년에 발전소 부지 정지공사에 착수하면서 사업이 본격 추진됐다.

아직 가야할 길이 많기는 하지만 에너지 협력의 대표사례로 손색없다.

다만 공사비 분담 등의 문제가 남아 있어 2003년 완공 목표는 달성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는 이외에도 당장 북한의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정부와 한국전력은 당장 실현가능한 분야로는 노후화된 발전설비와 송.배전선로를 수리, 보수하는 작업을 들고있다.

북한의 발전능력 대비 발전량이 워낙 낮은데다 송.배전선가 낡아 전력누수가 심한 만큼 시설보수와 현대화를 꾀하는 방식으로 전력공급 능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엔 남에서 북으로 곧바로 전력 보내는 것과 북한에 발전소를 새로 짓는 방법은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점이 고려됐다.

고급 에너지로 불리는 천연가스를 북한에 공급하는 방안도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최근 한.중.러 3국은 러시아 이르쿠츠크 가스전 공동 개발을 추진키로 하고 동시에 이르쿠츠크-중국-한국으로 이어지는 가스배관을 구축키로 했다.

정부는 이 가스관이 북한을 경유할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이 경우 북한은 필요한 경우 천연가스를 공급받게 될 뿐 아니라 가스운송에 따른 수수료 수입을 거둘 수 있게 된다.

자원분야 협력에선 보다 범위가 넓어진다.

북한의 지하자원이 풍부한 만큼 공동 개발에 착수하면 남.북 모두에게 이득이 될 것이라는게 정부 견해다.

산업자원부는 최근 국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서 국내 수요가 많지만 생산실적이 저조한 광물을 중심으로 북한에서 반입하는 방안을 강구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실제로 북한은 철 아연 금괴 알루미늄광 마그네사이트 등의 광물자원 생산이 남한보다 최소 10배나 많은 실정이다.

95년을 기준으로 북한에서 생산된 철은 4백22만톤만으로 남한의 29만6천톤(97년)보다 14배나 많았다.

마그네사이트는 북한 생산량이 1백60만톤으로 국내 수요를 충당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와함께 경제성있는 석탄자원이 거의 고갈된 남한과 달리 북한은 아직 석탄채광의 여지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이 분야 협력도 가능할 전망이다.

이희범 산자부 자원정책실장은 "자원 및 에너지분야 협력은 한반도 경제시대를 열어가는 유력한 수단이 될 수 있다"며 "실현가능한 분야부터 단계적인 협력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수언 기자 soo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