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국회 본회의 서상목 의원 체포동의안 표결에서는 적어도 20표 안팎의
여권표 이탈이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날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1백59명의 의원 가운데 김종필 총리와 국민회의
서정화, 자민련 김복동 의원 등 3명이 불참, 1백56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그러나 찬성표는 1백36표에 불과해 적어도 20명은 반란표를 던졌다고 볼 수
있다.

한나라당과 무소속 의원중 일부가 만약 찬성표를 던졌다면 공동여당에서는
이보다 더 많은 "반란표"가 나왔다는 계산이다.

여권 내에서는 자민련 의원들의 일부가 조직적으로 반란표를 던졌을 것이란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내각제 문제를 둘러싸고 매번 국민회의와 갈등양상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집단적인 저항을 했을 것이란 설명이다.

또 국민회의 소속 의원들 가운데 현정부 출범후 한나라당에서 입당한 의원
일부가 "반란"에 가담했을 것이란 추측도 나온다.

또 국민신당 입당파 의원들과 당직에서 제외된 인사들의 불만이 표결을
통해 표출됐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관측이다.

여당 이탈표는 김태정 검찰총장 탄핵소추안의 경우에도 드러났다.

박상천 법무장관해임안의 경우 해임 반대표를 던진 한나라당내 이탈표가
10여표 이상 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김 총장 탄핵에 찬성하는 여당내
이탈표는 10표를 넘어 여당 지도부를 또다시 놀라게 했다.

한편 서 의원은 표결 하루전인 6일 공동여당내 입당파 의원들을 상대로
집중적인 "구명" 로비를 벌였다는 후문이다.

이와관련, 국민회의 관계자는 "서상목 의원이 검찰에 출두할 경우 대선자금
전반에 대한 수사가 확대되고 이 경우 한나라당 입당파 의원들까지 피해를
입을 수 있어 이들중 상당수가 이탈표를 던졌을 것"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 김형배 기자 khb@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4월 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