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간 빅딜(대규모 사업맞교환)이 이번주중 1막을 마무리할 전망이다.

자동차 협상은 설 전후에 대우가 삼성자동차의 경영권을 잠정인수하는
방법으로 결론지어질 것으로 보인다.

현대전자와 LG반도체간 반도체협상도 마무리단계에 접어들었다.

지난 8개월간의 빅딜 논의는 우리에게 큰 교훈을 주었다.

우선 시장원리에 의하지않은 거래는 많은 부작용을 낳는다는 상식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는 점이다.

정부는 빅딜이 재계의 자율적 합의라고 강조하고 있다.

일부 사실이기도 하다.

그러나 빅딜 발상단계에서부터 결론에 이르기까지 정부가 개입한 흔적은
여기저기 발견된다.

빅딜 과정에서 끊임없이 잡음을 낸 것은 그 반증이라고 할수 있다.

재계의 어떤 사장이 이번 빅딜을 "부모 성화에 못이긴 강제결혼"이라는
표현을 쓴 것도 그래서다.

대형 M&A(인수합병)가 하루가 멀다하고 이뤄지는 외국에선 기업간 자발적
협상에 의해 보통 증권시장에서 상대방 주식을 사들이는 것으로 모든게
끝난다.

우리처럼 빅딜 평가기관을 선정, 수개월간 자산실사를 거쳐 주식매입가격을
정하고 직원들에게 위로금을 주는 형태는 찾아보기 힘들다.

민간기업간 거래에 정부가 개입한다는 것은 상상조차 할수 없다.

M&A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비밀은 철저히 유지되며 대형거래선은 그대로
합병회사 고객으로 이어진다.

이 두 방식중 어느 쪽이 더 효율적이고 경쟁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인지는 불문가지다.

빅딜의 목적은 과잉 생산설비를 해소하고 재무구조를 튼튼히 함으로써
경쟁력을 높이자는 것이다.

지난 8개월동안의 성과는 대기업간 사업을 교환하자는데 합의한 것에
불과하다.

이제 오픈게임이 끝난 상태일 뿐이다.

어떻게 하면 시너지 효과를 내 경쟁력을 높일수 있는지 방안을 찾는 건
지금부터의 과제다.

이젠 크라이슬러와 벤츠의 합병 등 세계시장이 근본적으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에서 빅딜로 재탄생하는 기업들이 우뚝 설수 있도록 고심해야 할 시점
이다.

여기엔 해당기업의 노력뿐 아니라 정부의 절대적 지원이 요구된다.

강제결혼(빅딜)이 이뤄진 지금 공은 부모(정부)쪽으로 넘어갔다.

정부는 결자해지 차원에서라도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고 과감하게 진행
시켜야 한다.

< 강현철 산업1부 기자 hckang@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2월 1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