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위의 박광태 의원은 30일 한전 감사에서 특유의 "저격수" 기질을
보였다.

야당시절 비리의혹 폭로와 정책대안 제시로 경실련 등 시민단체로부터
의정활동 1위 평가를 받았던 박 의원은 이날 "저력"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박 의원은 집권여당의 정책조정위원장이라는 점을 감안, 이번 국감에서는
"공격적 질의"를 삼간 채 정책대안 제시에 주력해왔으나 이날은 "공수"
양면에서 날카로움을 드러냈다.

박 의원은 한전이 10MW급 파일럿 플랜트와 영동 1.2호기, 서천화력 1.2호기
등 4기의 발전소 탈황설비를 발주하면서 자회사인 한국전력기술을 통해 동아
건설산업에 변칙적인 수의계약으로 4백70억원에 달하는 특혜를 줬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한국전력기술은 탈황설비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시공 기술이나 능력이 없는
설계.감리전문 회사라는게 그의 지적.

박 의원은 또 지난해 4월 사용후 핵연료를 해외에서 재처리한 뒤 반입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68만달러의 용역료만 낭비한 점도 들었다.

박 의원은 정책대안 제시도 잊지 않았다.

한전이 월성원전 인근 봉길지역에 2007년 준공 목표로 중수료형인 CANDU-9형
원전 건설을 추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미 막대한 개발비를 들여 국산화율 95% 이상의 한국표준형 경수로 원전을
건설해오고 있는 마당에 아직까지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사용된 적이 없는
CANDU-9형 도입은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 김삼규 기자 eskei@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3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