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적 투기자금인 헤지펀드에 대한 규제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경제상황이 취약한 나라만 골라가며 위기로 몰아놓은데 이어 이젠 스스로의
부실로 국제금융 시장에 상처를 안기고 있다.

국제 경제기구는 물론 각국의 지도자들까지 나서 헤지펀드에 대한 제재롤
요구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번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IBRD) 연차총회에서도 이 문제가 집중
논의될 전망이다.

<> 헤지펀드의 위험성 =아시아 위기 초기단계 때만 해도 쾌재를 부르던
헤지펀드들은 금융위기가 러시아, 중남미 등으로 번지면서 뜨거운 맛을 보고
있다.

롱텀 캐피탈 매니지먼트(LTCM)가 구제금융을 받는 신세가 된데 이어
컨버전스 어세트 매니지먼트(CAM)라는 또다른 펀드의 파산설이 돌고 있다.

이와관련 아서 레빗 미국 증권거래소(SEC) 소장은 지난달 30일 하원
금융소위 청문회에서 "LTCM 외의 다른 헤지펀드들도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헤지펀드의 대부격인 조지 소로스도 러시아시장 등에서 40억달러의
손실을 본 것으로 알려졌으며 타이거 펀드(6억달러), 오메가 어드바이저스
(4억5천만달러) 등도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밖에 소형 펀드중에는 이미 파산한 곳도 적지 않다.

<> 규제 움직임 =로버트 루빈 미국 재무장관은 "헤지펀드들의 활동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재무부와 연준리(FRB) 증권거래위원회(SEC)
상품선물거래위원회 등 관련기관에 조사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미 하원 금융위원회도 헤지펀드의 활동내역 등을 파악하기 위한 청문회를
개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스 티트마이어 독일분데스방크 총재와 빔 뒤젠베르크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도 최근 EU 재무장관및 중앙은행총재회의에서 "헤지펀드업계의 투자내역
을 공개하는 등 투명성을 제고하는 조치가 필요하다"며 앞으로 국제회의에서
이 문제를 논의하자고 촉구했다.

또 영연방 54개국 재무장관들과 오부치 게이조 일본총리도 투기자본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이 제기하는 규제론의 핵심은 투명성 확보와 투기 제한이다.

이중 투명성 확보를 위해서는 헤지펀드의 투자내역을 공개, 사고가 발생
하기 전에 예방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또 투기제한 책으로는 세금부과나 일정액 의무예치제등을 강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규제론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다.

우선 "헤지펀드의 투기적 활동은 국제금융시장의 왜곡 현상을 신속히
시정하는 긍정적 효과가 더 크다"는 주장이다.

또 "헤지펀드의 가장 큰 특징은 규제를 덜 받는다는 점이므로 헤지펀드에
대한 규제강화는 곧 그 정체성을 부인하는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 임혁 기자 limhyuck@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