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권력향배등 향후 진로를 결정할 노동당중앙위원회위원및 후보위원과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전원이 11일 평양에 집결한 가운데 12일 또는 13일
중대발표설이 나돌고 있어 북한권력상층부의 움직임이 뭔가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느낌이다.

노동당중앙위원과 최고인민회의대의원소집배경과 관련, 북한전문가들은
집단조문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김정일후계체제구축을 위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런 분석을 근거로 유추해 보면 중대발표는 김일성이후의 후계구도와 향후
북한의 노선과 관련된 것이리라는 것이 일반적 추측이다.

특히 김일성주석이 사망직전에 성사시켰던 남북한정상회담문제와 미국과의
핵협상문제에 대한 보다 명확한 입장도 포함되리라는 전망이다.

성급한 추측인지 모르지만 북한 권력내부의 예기치못한 변화가 중대발표의
내용이 될수도 있다는 조심스러운 얘기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현재 외신으로 들어오고 있는 북한의 중대발표설에 대한
진위여부확인에 주력하는 동시에 그내용은 물론 북한지도부의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재까지 청와대 안기부 통일원 외무부등 관계기관에서 중대발표에 대한
공식확인이 나오지 않고 있다.

청와대의 고위관계자는 11일 북한의 중대발표설에 대해 "그정확성을 확인
할수 없지만 김정일후계체제구축에 따른 조직개편발표와 기존노선을 그대로
추구하겠다는 내용이 되지 않을까 본다"고 일반적인 분석을 피력.

통일원의 관계자는 "중대발표가 있다면 아마 김일성의 국가주석직승계
또는 북미고위급회담과 관련한 북한의 새로운 입장표명등이 주요내용이
되리라고 본다"고 전망하면서도 "구체적인 정보가 입수되지 않아 계속
이와 관련한 정보를 수집중"이라고 언급했다.

이처럼 북한의 중대발표설이 공식확인은 되지 않고 있으나 북경과 홍콩
으로부터 들어오는 외신을 종합해 보면 전혀 근거가 없다고 볼수도 없는
상황이다.

북경의 정통한 소식통은 이와관련, "김주석사망이후 북한의 당.군.정의
주요핵심들이 김정일주재로 열린 긴급대책회의에서 김정일을 정점으로한
후계체제확립이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전제, "이에따라 북한은 빠르면 12일쯤 김정일을 국가주석및
당총서기직승계를 대내외에 공식발표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서명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