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현회장이 유창순회장으로부터 바톤을 넘겨받아 "재계총리"라는
전경련회장으로 취임한지 17일로써 1년이 된다.
(정확히는 지난12일이 취임1년이 되는 날이나 지난해 정기총회에서
취임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94년 정기총회가 열리는 17일로 1년이
마감된다) 최종현회장체제는 전경련회장의 오너체제복귀와 "1.5"세대의
개막이라는 점에서 출범당시부터 "무엇인가 달라지지않겠느냐"는 기대를
받았으며 지난1년간의 실적 또한 "기대에 어긋나지않았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재계의 결속강화및 자율성 확보, 민간주도의 국가경쟁력강화사업,
대.중소기업간 협력확대 등을 통해 재계의 위상을 높이고 대기업에
대한 국민들의 비판적 시각도 많이 개선시켰다는게 재계내부의 평가다.

최종현회장체제는 재계의 자기혁신과 대.중소기업간의 동반자적 관계
정립, 그리고 글로벌리제이션을 기치로 내걸고 출발했다. 최회장은 이를
위해 먼저 전경련회장단을 개편했다. 원로들을 명예회장이나 고문으로
추대하고 이건희삼성그룹회장 조중건한진그룹부회장 신준호롯데그룹
부회장 등 "1.5"세대와 2세대를 부회장으로 새로 선임했다.
자신을 포함한 회장단이 원로와 2세들간의 입장을 원만히 조율할 수있는
체제를 구축함으로써 재계의 결속을 강화하고 동시에 전경련회장단을
명실상부한 재계의 지도부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최종현회장은 이같은 "힘"을 바탕으로 중소기업에 대한 대기업의
지원확대를 유도, 대립적 관계로 비쳐지던 대.중소기업관계를 상호협력
관계로 바꾸어놓았으며 자율조정위원회를 설치해 대.중소기업간 문제
뿐만아니라 대기업간 문제도 업계자율로 해결할 수있는 길을 열어놓았다.
최회장은 중소기업과의 관계재정립을 위해 자신이 재계중진들을 이끌고
지방을 순회하며 현지중소기업인들의 어려움을 듣기도했다.

물론 최회장체제가 순탄했던 것만은 아니다. 새정부출범과 함께 불기
시작한 사정바람에 휩싸여 전경련을 포함한 재계가 제목소리를 내지못한
적이 있었으며 정부의 신경제정책에 반발한다는 인상을 주어 정부와의
관계가 한때 심하게 경색되기도했었다. 이같은 분위기가 최회장 개인의
일과 맞물리면서 급기야는 최회장의 조기퇴진설까지도 나돌았었다.

최회장이 이끄는 전경련은 그러나 정부정책을 비판하거나 정부에
대해 무엇을 해달라고 요구하기에 앞서 재계가 해야되는 일을 먼저
한다는 자기혁신의 자세로 전환, 분위기를 반전시켰다. 대표적 사례가
민간 주도의 국가경쟁력강화사업. 전경련은 80년대까지는 정부주도의
국가경쟁력강화가 가능했으나 경제볼륨이 커진 현상황에서는 민간이
나설수밖에 없다고 판단, 국가경쟁력강화 민간위원회를 발족시키고
여기에 재계의 총력을 결집시켰다.

국가경쟁력강화사업은 때마침 진행중이던 UR협상과 맞물려 사회전반의
공감을 얻었으며 김영삼대통령이 국가경쟁력강화를 국정의 최우선과제로
선언할 정도로 확대됐다. 국가경쟁력강화사업을 통해 경제의 중요성을
부각시킴과 동시에 대정부관계를 개선하고 국민들의 기업에 대한
이미지도 개선시킨 셈이다.

그렇다고 최회장체제의 앞에 놓여있는 일들이 결코 만만한 것은
아니다. 당장의 현안인 제2이동통신 컨소시엄구성작업을 무리없이
마무리해야한다는 숙제가 안겨져있으며 전경련을 중심으로 재계를
계속 결속시키기위해서는 기업들이 요구하는 규제완화를 어느정도는
끌어내야한다는 부담도 있다.

또 실질적인 민간주도의 경제체제구축을 위해서는 최대과제인 국가
경쟁력강화사업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수있도록 구체적인 대응책을
세워야한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최종현회장체제에 대한 앞으로의 평가는 단기적으로는 "2통"
문제의 원만한 처리여부에 달려있으며 장기적으로는 국가경쟁력강화
사업의 결과에 따라 점수가 매겨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