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당국이 14일 증시안정대책을 공식적으로 발표함에따라 향후의
주식시장 기류가 어떻게 변할 것인가에 증시안팎의 시선이 집중되고있다.

다음주(17일)부터 대주제를 부활시키고 기관투자가에게도 매수금액의
20%를 위탁증거금으로 징수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증시과열 대책이
공식화된 14일 주식시장은 일단 폭락세를 나타냈다.

증시안정기금이 보유주식을 내놓으며 증시안정대책의 약효를 극대화시키는
"보조역할"을 한 가운데 종합주가지수가 20포인트정도 급락해 870대로 주저
앉았다.

증권당국이 대주제를 부활한 것은 신용매매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일반투자자의 매도세력을 끌어들여보자는 의도에서 비롯됐다.

그러나 대주제는 오는 96년으로 예정된 주가지수선물시장 개설에 앞서
반드시 도입해야될 제도이다. 주가지수선물의 원리상 대주허용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이 제도의 부활은 시간문제로 여겨져왔었다.

이와 관련해 증권당국관계자는 1.4분기중에 대주제를 부활하자는 의견이
검토돼 왔으나 주식시장과열을 저지키위해 발표시기가 앞당겨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기관투자가에 대한 위탁증거금 징수는 증권가에서는 전격적인 조치로
받아들여지고있다.

기관투자가도 일반처럼 주식매입에 앞서 일정한 금액(매수주문액의
20%이상)을 입금시키야 한다고 규정함으로써 기관장세를 약화시키겠다는
것이다.

최근 장세가 일부주식군만 계속 치솟고 소외된 주식은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불균형구조를 심화시키는데 대한 직접적인 처방으로 볼 수도 있다.

"종합주가지수가 오르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일부 종목에 투기성매수세가
붙어 주식시장이 왜곡되는데대한 우려감이 더 컸다" 증권당국자들은 이같이
증시안정책의 필요성을 주식시장의 과열양상보다 "왜곡"쪽에서 찾는 말을
자주 언급하고 있을 정도이다.

여기서 일부 종목군의 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는 것은 기관투자가들이
"뻥튀기 주문"을 대거 냈기 때문이고 이에 족쇄를 채우는 방안으로
위탁증거금을 징수하는 진단을 내렸다는게 당국자들의 뒷말이다.

"1.14"증시안정대책은 지난89년 4월이후 약5년만에 처음 등장한 것으로
주가상승세에 어느정도 제동이 걸리지 않으면 제2탄,3탄이 계속 나올
것임을 예고한다는 점도 쉽게 미뤄볼 수 있다.

주가가 14일 일단 폭락세로 반응한 것도 "1.14"대책 자체가 가진 효능의
강도도 고려됐지만 정부의 확고한 주가진정의지를 목격했다는 점도
투자심리에 무시못할 영향을 끼쳤다는 해석이 나오고있다.

증권전문가들은 앞으로 실물경기같은 주가의 기본변수 보다 당국의
증시안정책 강도를 점치며 주식시장내의 수급상황변화에 따라 주가가
크게 출렁거리는 양상이 자주 출현할 것으로 예상하고있다.

또 지난86-88년활황기때 5차례의 증시안정책이 나왔고 회수가 늘어날수록
장세가 장기적으로 서서히 힘을 잃은 점도 상기할 만 하다.

시장내부적으로는 앞으로 기관투자가의 행동에 제약이 가해졌으므로
당국의 향후 행보를 점쳐 역으로 움직이는 일반투자자들의 단타매매가
성행할 가능성도 있다. 인위적인 주식시장 규제조치는 어떤 형태로든
부작용을 초래한다는 의미이다.

<양홍모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