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생명보험산업이 금리자유화등 격변하는 금융여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꾸준한 성장을 해나가기 위해 예정이율을 현재보다 2%포인트
인상하는등 수익률을 제고하고 보장성상품 개발에 주력해 생보업계의
고유영역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29일 생보협회부설 보험경제연구소가 발표한 "금융환경변화와 생보산업의
대응"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말 1단계금리자유화조치시행이후
약화되고있는 생보산업의 대외경쟁력을 되살리기 위해선 업계 자율적으로
보장성상품위주의 고유영역을 강화하고 자산운용의 효율화를 꾀하는 동시에
예정이율을 조정하고 현재 연24만원인 소득공제한도를 인상하는등 세제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권영준보험경제연구소장(한림대 교수)은 "향후 도래할 노령화시대를
대비하는 연금보험에 대한 세제혜택의 도입도 필요하며 업계의 자율적인
자산운용을 위해 기존 자산운용준칙에 대한 전면 재검토도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권소장은 특히 현재 포지티브시스템인 자산운용준칙을 네거티브시스템으로
전환해 향후 신종금융상품의 출현에 탄력적으로 대처할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국공채창구판매를 허용하는등 생보사의 자산운용 규제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생보사의 이익발생여부와 관계없이 실시하는 연2%의 확정배당을
예정이율에 통합,현7.5%에서 9.5%로 상향조정하고 금융형상품의 수익률도
연13%로 인상,금리자유화이후 약화되고있는 생보상품의 금리경쟁력을
제고해야할 것으로 지적됐다.
이보고서는 생보산업의 고유영역인 보장성상품이 현재 전체수입보험료의
3%정도에 머물고 있으나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점을 감안해
보장성기능을 강조한 새상품개발및 중점판매를 통해 특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경영기반이 취약한 신설생보사들은 무리한 고수익상품의
개발보다는 보장성 또는 서비스연계형상품을 중심으로한 특화전략을
추진하는게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기존수요를 흡수하는 동시에 신규수요를 개발하기 위한
?기업연금등 사회보장을 보완하는 상품 ?은행등 타금융권과의 제휴상품
?금리외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상품등의 시장개척형 상품의
개발도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