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제에 끌려간 정신대 문제가 부각됐으나 일본의 전후처리는 고사
하고 아직 그 폐해의 진상이 밝혀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같은 역사
적 사실 마저도 그대로 묻혀 버릴 수도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같은 현실에서 일제삼십육년사연구소(소장서남현스님)가 3.1절을
앞두고 29일 오후 서울 라마다르네상스호텔에서 개최하는 ''북해도지역을
중심으로 한 조선인강제 연행에 관한 국제심포지엄''은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서울대 안병직교수는 ''다시 생각해보는 조선인강제연행 문제''라는
기조강연초록 에서 강제연행에 대한 학술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은
사실을 지적하고 양국학자 들의 공동연구를 제의했다.
안교수는 여자정신대와 종군위안부 사이에는 엄연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혼용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민간차원에서 시작된 실태조사가
정부차원으로 이어지고 사죄와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우리정부에 대해 1965년 한일기본조약을 체결하면서 일본정부로
부터 보상금 을 받은 만큼 피해자를 찾아 보상해야 한다고 안교수는
말했다.
일본 비하이(미패시) 1백년사 편집위원 시라토 히토야스(백호
인강)씨는 북해도 의 강제연행된 조선인노동자의 개황을 소개했다.
일본으로 연행된 조선인 노동자의 약20%에 해당하는 22만여명이
북해도로 끌려 왔으며 그 가운데 65%가 탄광노동에 종사했는데 대부분이
위험한 갱내노동을 했다는 것. 그리고 2천3백25명이 각종 원인으로
사망했다는 것이 보고됐다.
시라토씨는 이밖에 강제연행의 정책적 배경, 해외로 연행된
조선인노동자 총수, 북해도에 있어서의 노동자들의 업종별, 지역별
취업현황을 소개하면서도 아직 자료 를 찾아 보충해야 할 부분이 많다고
밝혔다.
북해학원대학 이찌하라 히로시(시원 박)교수는 구체적으로
스미토모(주우)광업 우타시나이(가지내) 광업부를 사례로 들어 조선에서의
노동자 모집과정 부터 주거, 훈련, 작업, 임금, 식사등의 실태를 생생하게
전했다.
노동자들의 출신지별, 연령별, 결혼여부, 교육정도, 일본어 이해정도
등 세세한 부분까지의 자료는 물론 회사측의 실무교육, 임금, 숙소및
식사현황 그리고 송환과 관련된 서류도 소개됐다.
끝으로 소라찌(공지)민중사강좌 도노히라
요시히로(전평선언)사무국장은 북해도 북부 산간지방에 있는
슈마리나이(주국내),우류(우용)댐의 공사에 동원된 조선인들 의 실태를
소개했다.
1938년 부터 6년간 당시 동양최대의 발전용량(5백kw)을 자랑하는
인조댐이 건설 되기까지 2백명이상의 인명이 희생됐다는 사실과 지난
15년간 이를 추적한 민간단체 의 노력이 보고됐다.
도노히라씨는 인근마을 공동묘지에서 한국인 무덤 2개를 발견하고
수소문을 한 결과 한국에 있는 연고자를 찾아 이번에 고향산천에 안장할
수 있게 됐다며 그간의 과정을 설명했다.
도노히라씨는 1965년 한일협정으로 배상문제는 ''해결되었다''는 것이
일본정부의 입장이나 희생자 유족에게는 1엔의 배상금도 지불되지 않았으며
협정당시 일본정부 는 한국정부에 연행자가 9만명이라고 밝혔으나 그 수가
70만-1백50만명이라는 설도 있음을 상기시켰다.
한편 소라찌민중사강좌 관계자들이 발견한 2개의 유골은 28일 하오
김포공항을 거쳐 도착한 후 오는 1일 오전 천안 망향의 동산에
안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