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포드·스텔란티스 파업에 더 단단해지는 테슬라 입지
미국 3대 완성차 업체인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 스텔란티스 노동자 15만명이 속한 전미자동차노조(UAW)가 사상 처음으로 동시 파업에 들어간 가운데 이번 파업에 따라 테슬라의 입지가 더욱 단단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3사가 파업한 지 이틀째인 16일(현지시간) 상업은행 웰스파고에 따르면 UAW 측 요구사항을 사측이 모두 받아들일 경우 시간당 인건비가 평균 136달러로 상승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현재 디트로이트 자동차 업체들의 인건비는 복리후생비를 포함해 시간당 평균 66달러로 추정했다. UAW는 향후 4년간 임금 최소 40% 인상, 전기차 생산 확대 과정의 고용 안정 강화 등을 요구하는 중이다. 이에 대해 스텔란티스는 4년 6개월간 총 21% 인상을 제시했다. 앞서 포드와 GM은 최대 20% 인상을 제안했다.

반면 테슬라의 인건비는 45달러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전기차는 부품 수가 적기 때문에 내연기관차보다 더 적은 인원으로 생산할 수 있어 전체 인건비 부담이 덜하다. 이에 따라 테슬라는 지난 상반기 차량 가격을 내렸지만 지난 2분기 순익이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했다. 생산 자동화를 통해 생산 단가를 낮췄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분석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3월 생산비용 절감을 통해 차세대 차량의 제조 비용을 50% 절감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하기도 했다.

다만 테슬라는 직원들에게 무노조 경영을 강조하는 대신 직원들에게 성과급으로 스톡옵션을 지급한다. 직접적인 현금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셈이다.

일각에서는 자동차 업계 파업의 중심에는 전기차가 있다고 보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에 대해 자동차 제조사들은 전기차 제조를 늘리면서 비용을 늘리고 싶어 하는 반면, 노조는 생산설비가 전기차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일자리를 지키고 싶어 한다고 분석했다.

이번 파업으로 포드 브롱코 SUV, 스텔란티스 지프 랭글러, GM 쉐보레 콜로라도 중형 픽업을 포함해 일부 인기 모델의 생산이 중단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