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도의 말에 따라 레지던트, 간호사와 함께 아마존 인공지능(AI) 플랫폼인 알렉사도 업무를 시작한다. 환자 상태가 어떻게 바뀌는지, 특이사항은 없는지 꼼꼼히 기록한다. 수술실 밖에서도 알렉사는 의사와 함께한다. 외래 진료실에서 환자 말을 들으며 전자의무기록(EMR)을 작성한다. 미국 휴스턴감리병원 정형외과 의사인 니컬러스 데사이 최고의료정보책임자는 “음성 비서가 환자를 함께 돌보면서 키보드 두드리던 시간을 환자 진료에 쓸 수 있게 됐다”며 “두 번째 귀를 얻었다”고 했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이 헬스케어 서비스 확대에 나섰다. 의료데이터 클라우드, 원격의료 서비스를 가동하면서 의료 분야에서도 아마존화(아마조니피케이션)에 시동을 걸었다. 구글 등 다른 빅테크들도 앞다퉈 건강산업에 자금을 쏟아붓고 있다. 헬스케어 시장에서 ‘빅테크 대전’이 벌어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헬스케어 시장 보폭 넓히는 아마존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1년간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알렉사를 도입한 미국 병원이 여덟 곳으로 늘었다고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음성 비서는 아마존이 추진하는 헬스케어 서비스의 일부다. AWS는 환자 데이터를 분석해 질병을 예측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스마트폰 앱처럼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선보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직접 헬스케어 스타트업 육성에 나섰다.
알렉사는 환자와 병원을 잇는 도구다. 집에서 진료 예약을 한 뒤 원격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아마존이 직원 대상 원격의료 서비스인 아마존 케어를 시작한 것은 2019년부터다. 올 3월 다른 기업 직원에게까지 서비스를 개방했다. 플로톤 자회사인 프레코 등이 고객사로 참여했다. 일부 지역에선 의료진이 환자 집을 방문해 검체를 수집하고 백신도 놔준다. 서비스 대상을 수천만 명으로 확대하기 위해 보험사와 논의 중이라고 비즈니스인사이더는 전했다.
의료비 상승이 변화 이끌어
코로나19 확산으로 원격의료 시장에 훈풍이 부는 것은 아마존에 호재가 됐다. 2월에 미 원격의료 서비스 이용자는 코로나19 이전보다 38배로 늘었다. 아마존은 온라인 약국 사업도 확대하고 있다. 2018년 전자처방업체인 필팩을 인수한 뒤 지난해 말 아마존 약국을 열었다. 올 6월엔 6달러만 내면 6개월치 만성질환 약을 받을 수 있는 구독 서비스를 도입했다. 3600억달러(약 421조원)에 이르는 처방약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다. 가정용 코로나19 검사 서비스인 아마존DX도 7월 출시했다. 최근엔 임상진단 전문가 채용에 나섰다. 의료 서비스 도입 속도가 빨라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아마존이 헬스케어 분야에서 늘 승승장구한 것은 아니다. 2018년 JP모간, 벅셔해서웨이와 손잡고 직원 건강관리 회사인 헤이븐을 창업했다. 하지만 올해 초 법인은 폐쇄됐고 직원 57명도 뿔뿔이 흩어졌다. 헤이븐 실패 후 아마존은 기업들의 진료비 부담을 낮춰주는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빅테크 헬스케어 대전 본격화
올해 미 의료비 지출은 4조2000억달러로 국내총생산(GDP)의 18%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 5조달러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진료비 지출이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기업 부담도 커졌다.
빅테크들은 앞다퉈 의료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아마존의 헬스케어 사업 미래를 낙관하기 어려운 이유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는 아마존보다 먼저 의료 데이터 시장에 발을 들였다. 이들은 아마존보다 많은 병원 고객을 확보했다. 유통기업 월마트는 전국에 클리닉을 열면서 헬스케어 시장에 진출했다. 팜(FAAMG·페이스북 아마존 MS 구글 애플) 기업의 헬스케어 공동 투자금은 올 상반기에만 31억달러에 달한다. 지난해 전체 투자금(37억달러)에 근접했다.
아마존의 사업 영역 확대를 곱지 않게 바라보는 시선도 부담이다. 엘리자베스 워런 미 상원의원은 ‘아마존 해체’까지 주장하고 있다. 아마존이 자체 진료센터를 구축하거나 보험사 업무까지 담당하면 반발이 커질 것이라고 FT는 내다봤다.
세계 3대 연기금인 국민연금공단의 전체 운용자산이 900조원을 훌쩍 넘어섰다. 4년 사이 50% 이상 늘었지만 국내 주식은 거의 제자리다. 반면 부동산·인프라, 사모펀드(PEF) 등 대체투자 자산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국민연금의 대체투자 약정금액이 처음으로 2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12일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에 따르면 대체투자 총 약정금액은 지난해 말 기준 204조4401억원이었다. 전년(154조969억원)보다 50조3432억원(32.67%) 급증했다. 같은 시점 채권 투자 잔액은 386조3920억원(국내 채권 322조8474억원, 해외 채권 63조5446억원), 주식 투자 잔액은 417조628억원(국내 주식 163조9329억원, 해외 주식 253조1299억원)이었다.운용 수익까지 포함한 국민연금의 총 운용자산은 올해 5월 말 기준 912조3550억원이었다. 구체적으로 △국내 주식 151조9190억원(16.65%) △해외 주식 243조1890억원(26.66%) △국내 채권 317조5360억원(34.80%) △해외 채권 64조3520억원(7.05%) △대체투자 131조7390억원(14.44%) 등이다. 5월 말 대체투자 운용자산은 국민연금이 투자를 약정한 금액의 절반 정도만 집행한 것이다. 이르면 올해 대체투자 운용자산이 국내 주식을 넘어설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대체투자 분야별로 국민연금은 국내보다 해외 부동산을 대폭 늘렸다. PEF 투자에선 칼라일 블랙스톤 등 해외 대형 PEF 투자를 선호했다. 한 국내 투자은행(IB) 관계자는 “중장기에 걸쳐 안정적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게 대체투자의 장점”이라고 말했다. 국민연금 대체투자 자산, 이르면 연내 '국내주식' 추월할 듯국민연금이 주식 채권 등 ‘전통 자산 투자’를 넘어 알짜 부동산, 도로 항만 등 인프라 시설에 자금을 대 배
이마트24가 지난 8일 출시한 '내 주식처럼 사르르 녹는 바닐라 버터샌드' 제품명을 두고 비판이 거세지자 하루 만에 발주를 중단했다. 공교롭게도 모회사인 이마트는 2분기 적자전환 하며 주가가 하락 중이다.문제가 된 제품은 이마트24의 자체 브랜드 상품(PB)으로 '이번 주도 버텨라 버텨 버터소금쿠키', '연차 반차 녹차쿠키', '기분이 아주 초코같네 초코쿠키' 등의 자매품이 함께 출시됐다. 이 제품들은 이마트24의 20~30대 직원들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 '딜리셔스 탐험대'가 기획한 상품으로 알려졌다. 제품 출시 뒤 온라인상에서 "개인 투자자를 조롱한다" "이마트 주주들마저 약올리냐"는 비판이 쏟아졌다. 논란이 확산되자 이마트24는 해당 제품 발주를 즉각 중단하고 고객들에게 사과했다.한편 이마트24의 모회사인 이마트는 2분기 12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적자 전환했다고 11일 공시했다. 이 여파로 이마트 주가는 11일 오후 2시36분 기준 전거래일보다 2.31% 하락한 10만5500원에 거래 중이다. 박병준 기자 real@hankyung.com
신영증권이 HMM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으로 제시했다. 환율 상승 효과를 빼면 실적이 역성장했다는 이유에서다. 11일 신영증권은 HMM 목표주가(적정주가)를 2만4500원으로 제시했다. 달러 기준으로 2분기 매출을 환산하면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는 게 근거다. 엄경아 신영증권 연구원은 “컨테이너 사업부의 물동량과 운임이 전분기 대비 모두 감소했지만 매출원가는 14.2% 증가했다”고 설명했다.HMM의 2분기 매출은 5조3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2% 증가했다. 같은기간 영업이익은 2조9371억원으로 111.5% 늘어났다. 이에 대해 엄경아 연구원은 “매출 성장이 이어진 이유는 환율 상승에 따른 표기 실적이 높게 나타났을 뿐이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신영증권이 제시한 목표가(2만4500원)는 현재 주가보다 낮다. ‘매도 리포트’가 없는 한국에서 사실상 매도 의견과 같다는 분석이다. 11일 오전 10시 기준 HMM은 1.6% 오른 2만5350원에 거래되고 있다. 목표가란 향후 12개월 안에 한 기업의 주가가 오를 수 있는 최대치를 의미한다. 고점에 물린 개미들이 본전을 찾기 어려울 수도 있다는 얘기다.키움증권에 따르면 이 증권사의 고객들은 평균 주당 2만7937원에 HMM를 매수했다. 키움증권은 고객 대부분이 개인투자자다. HMM은 2020년 2월까지 주가가 3000~4000원에 거래됐다. 코로나19 이후 물동량이 급증하면서 작년 5월 주가가 5만1000원까지 올랐다. 주가 급등세가 미국 테슬라처럼 가파르다는 의미에서 ‘흠슬라’라는 별칭이 붙었다. 개인들이 많이 투자해 개미 단골 종목으로 불린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