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공동선언] 공동유해발굴 '화살머리고지'… 고지 쟁탈 벌이던 전장

국군 전사·실종자 등 유해 300여 구 매장 추정
남북이 19일 평양정상회담을 계기로 비무장지대(DMZ) 내 6·25 전사자 공동유해발굴을 합의한 '화살머리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강원도 철원에 있는 화살머리고지는 6·25 휴전 직전인 1953년 중공군과 국군의 고지 쟁탈전이 치열하게 벌어진 곳이다.

2주가량 동안 벌어진 전투에서 국군은 고지 방어에 성공해 전략적 전초기지를 확보했다.

6·25전쟁 시 이처럼 치열한 격전지였던 비무장지대에서 아직 수습하지 못한 남북 전사자 유해에 대해 최초로 남북이 공동발굴을 함으로써 6·25전쟁의 아픈 상흔을 함께 치유해 나가는 계기를 될 전망이다.◇ 전략 요충지를 사수하라…휴전 직전까지 이어진 화살머리 전투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대마리 일대에 있는 화살머리고지는 6·25 최대 격전지였던 백마고지의 남서쪽 3km 지점에 화살머리처럼 남쪽으로 돌출된 해발 281m의 고지다.

이곳은 넓은 평야가 발달했고 한반도 중앙에 위치해 한국 전쟁 당시 교통과 전략에 중요한 요충지였다.북한군과 중공군은 이 지역 인근에 나진·성진·원산항에서 온 군수물자와 각지에서 동원한 병력을 집결해 남침의 본거지로 삼기도 했다.
휴전 협정 직전인 1953년 여름, 중공군 제73사단은 국군이 확보 중인 백마고지와 화살머리고지를 탈환하기 위해 대대적인 공격을 감행했다.

이에 국군 제2사단은 두 차례의 방어전투를 치르면서 고지를 사수했고 이는 '화살머리고지 전투'로 한국 전쟁사에 남았다.6월 29일 벌어진 1차 전투에서 중공군은 국군 32연대가 구축한 전초진지를 공격해왔고 국군은 32명의 전사자를 내면서 맞서 이를 격퇴했다.

전열을 가다듬은 중공군 73사단은 7월 6일 2차 공격을 감행해 두 개의 전초기지를 점령했지만, 국군은 과감한 역습을 통해 백마고지와 화살머리고지를 포함해서 전투지역을 방어해냈다.

2주가량 이어진 전투로 국군 제2사단은 180명의 전사자와 16명의 실종자, 770여 명의 부상자가 나왔고, 중공군은 1천300여 명의 전사자가 발생했다.

중공군은 전력을 정비해 재차 공격에 나설 생각이었으나 7월 27일 휴전이 이뤄지면서 계획은 물거품으로 돌아갔다.

◇ 군사분야 합의로 첫 삽 뜰 남북유해공동발굴
남북은 19일 평양에서 열린 제3차 정상회담에서 육상과 해상, 공중을 포함한 모든 공간에서 일체의 적대행위를 금지하는 내용을 골자로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를 채택했다.

이를 통해 양국은 비무장지대에서 아직 수습하지 못한 남북 전사자 유해를 최초로 공동발굴하기로 합의했다.

먼저 화살머리고지를 시범 공동유해발굴지역으로 정하고 2019년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6개월 동안 발굴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곳은 국군 전사·실종자 유해 200여 구를 포함해 총 300여 구가 매장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북은 본격적인 발굴에 앞서 올해 말까지 DMZ 자기 측 경계선으로부터 군사분계선 방향으로 지뢰제거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발굴되는 유해는 현장 수습해 남북 협의를 통해 송환할 방침이다.또한, 향후 공동유해발굴의 편의를 위해 남북 군사 당국은 올해 말까지 해당 지역 안에서 12m 폭의 도로를 개설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