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 임대허용 등 규제 완화
분양액 70% 이상 저리융자
최초 분양자엔 세금 혜택도
신설법인 늘고 공급도 증가
6~7%대 투자수익률 '매력'

◆지식산업센터 분양 봇물
ADVERTISEMENT

금강펜테리움 IX타워 분양 관계자는 “인근에 제조업, 연구개발(R&D)센터, 벤처기업 등이 모여 있는 경우가 많아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며 “분양 홍보를 하고 있지만 이미 입주의향서를 100% 넘게 거뒀다”고 말했다.
대형 건설사들도 앞다퉈 지식산업센터 공급에 나서고 있다. 작년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륭 에이스 금강주택 등 전문업체들이 주로 공급했지만 작년 하반기부터 SK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대우건설 등 대형 건설사들도 대거 지식산업센터 공급에 동참하고 있다.
ADVERTISEMENT
한국산업단지공단에 따르면 2015년 65개 수준이던 지식산업센터 승인 건수가 지난해 108개로 급증했다. 한국산업단지공단 관계자는 “산업단지 안에서만 승인된 수치”라며 “택지지구에서 공급된 숫자까지 감안하면 더욱 큰 폭으로 늘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성동구 성수동, 구로구 가산디지털단지 등에서 사무실 용도로 공급 중인 지식산업센터에선 실수요자와 투자자 비율이 역전됐다. 2년 전까지만 해도 실수요자(법인)의 매입비율이 70%였지만 요즘은 투자자 비율이 70%에 달한다. 일반인이 법인에 임대할 목적으로 지식산업센터를 분양받고 있는 것이다.
실수요자들이 지식산업센터로 몰리는 것은 상가 오피스텔 등은 대출규제를 받기 때문이다. 상가 등은 분양가 대비 대출가능금액 비율이 50~60%에 그치지만 지식산업센터는 70~80%까지 대출받을 수 있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소액투자가 가능한 데다 분양가 총액이 수억원대로 적은 점이 매력”이라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개인이 임대 목적으로 지식산업센터를 구입하는 것도 가능해지는 추세여서 투자층이 넓어지고 있다. 과거에는 준공업지역이 아닌 산업단지에서 공급되는 지식산업센터는 개인이 임대 목적으로 분양받는 게 불가능했다. 그러나 정부는 올해 초 산업단지 활성화를 위해 투자 목적으로 구입하는 것도 점진적으로 허용키로 했다.
임대수익이 안정적인 것도 장점이다. 주로 개인사업자가 입주하는 상가와 달리 중소 규모 기업이 입주하기 때문에 임대료가 밀리거나 갑자기 공실이 생길 위험이 비교적 적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3.3㎡당 가격이 600만~800만원 정도로 저렴한 곳에서 대출을 최대한 끼면 임대수익률을 연 15%까지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투자자뿐 아니라 실수요자들의 청약도 꾸준한 편이다. 지식산업센터를 최초 분양받고 입주한 기업에 취득세 50%, 재산세 37.5% 감면 등의 혜택이 주어지는 까닭이다.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에서 2년 이상 있다가 경기 화성시를 비롯한 성장관리지역으로 법인 주소를 이전할 경우 4년간 법인세를 100% 감면받을 수도 있다. 기흥테라타워 분양 관계자는 “사실상 과밀억제권역 생활권에 자리잡고 있지만 행정구역상은 성장관리지역이어서 법인세 100% 감면 혜택을 보려는 실수요업체의 문의도 많다”고 말했다.
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