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충원서 분향·안전 점검 >정몽준 새누리당 서울시장 후보(왼쪽)가 13일 서울 국립서울현 충원 현충탑 앞에서 분향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오른쪽)이 13일 서울 제2롯데월드 신축 공사현장을 방문, 월드타워동 33층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 현충원서 분향·안전 점검 >정몽준 새누리당 서울시장 후보(왼쪽)가 13일 서울 국립서울현 충원 현충탑 앞에서 분향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오른쪽)이 13일 서울 제2롯데월드 신축 공사현장을 방문, 월드타워동 33층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기존 단독주택을 고쳐서 사용하고 동네 옛길도 최대한 보존하겠다.”(박원순 서울시장·새정치민주연합 서울시장 후보)

“초고층 빌딩 및 아파트 개발을 적극 돕고 재개발·재건축 규제도 완화하겠다.”(정몽준 의원·새누리당 서울시장 후보)

지난 12일 새누리당 서울시장 후보로 정몽준 의원이 뽑히면서 정 후보와 새정치민주연합 후보인 박원순 서울시장 간 개발 공약이 관심 대상으로 떠올랐다. 무산된 용산업무지구 개발사업, 지지부진한 강북 재개발 사업 등 앞으로 풀어야 할 도시개발 및 주택 사업이 산적해 있어서다.

두 후보의 도시개발 기본 개념은 박 시장이 ‘문화·역사성을 가진 국제도시’, 정 의원은 ‘도심 개발을 통한 국제 경쟁력 제고’로 요약된다.

먼저 박 시장은 지난 2년여 재임 기간 동안 추진해온 정책들을 이어갈 예정이다. 박 시장은 주민의 찬·반 갈등이 심하거나 사업 속도가 느린 뉴타운·재개발 지역들을 정리하는 ‘출구 전략’을 추진했다. 주민 의견을 물어 구역을 해제한 뒤 주거환경관리사업을 대안으로 추진했다. 주로 노후 단독주택 등을 개·보수하고 옛길이나 역사적 건물, 한옥 등을 보존하는 방식이다.

박 시장은 또 전면 철거 후 고층 아파트를 짓는 방식의 재개발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프랑스 지리학자 줄리아 발레조가 쓴 ‘아파트 공화국’이란 책을 언급하며 “한국의 아파트 문화를 조롱한 것”이라는 말도 했다. 초고층 개발에도 신중한 편이다. 뚝섬이나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내 100층 이상 초고층 랜드마크 빌딩 개발사업이 박 시장 임기에 무산됐다. 주택 부문에서는 소형 주택과 임대주택 공급을 중시한다.
鄭 "도심 재개발" vs 朴 "옛길·한옥 보존"
정 후보의 부동산 정책은 ‘도심개발 적극 추진’으로 집약된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을 재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정 후보는 최근 “용산개발은 덩어리가 커 소화가 안 되고 있다”며 “단계적, 점진적으로 해결해야 하고 큰 그림을 갖고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단 용산 철도정비창 부지와 서부이촌동을 통합해 큰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3~4개 구역으로 나눠 단계적으로 개발한다는 내용이다. 이에 반해 박 시장은 “사업 재개는 불가능하다”며 “철도정비창은 우선 단독 개발하고 서부이촌동 일대는 따로 개발하는 안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정 후보는 재개발·뉴타운 사업도 선별적으로 재추진하고 재건축·재개발 규제도 완화한다는 계획이다. 초고층 개발에도 우호적이다. 고밀·첨단화를 통해 도시 국제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정 후보 측 이수희 대변인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하면 용적률 법정 상한선이 1종 200%, 2종 250%, 3종 300%인데 박 시장은 조례를 통해 50%씩 깎아서 적용하고 있다”며 “이 부분을 고쳐 재건축을 원활히 추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 후보 간 비슷한 공약도 있다. 서울 마곡지구를 서울의 대표 산업단지로 키우겠다는 것이다.

문혜정/이현진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