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에 내몰린 소상공인들…70% "1년새 매출 급감, 한 명 고용도 힘들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기부, 소상공인 실태조사
"장사 외 다른 선택지 없었다"
29%는 月매출 200만원도 안돼…83% "정부 지원 정책 모른다"
"장사 외 다른 선택지 없었다"
29%는 月매출 200만원도 안돼…83% "정부 지원 정책 모른다"
서울 중구의 한 상가에서 3년째 치킨집을 운영하고 있는 김모씨(53). 이달 꼬박 장사해 손에 남은 현금은 200만원이었다. 김씨는 경비를 아끼기 위해 직원도 두지 않고 있다. 아내와 둘이 하루 열 시간 넘게 일해 번 돈이다. 월매출은 600만원쯤 됐지만 식재료 비용과 월세 등을 빼고 나니 남은 것은 200만원과 온몸에 밴 기름 냄새뿐이었다.
김씨는 중소기업을 다니다가 10여 년 전 퇴직했다. 처음엔 피자를 팔았다. 장사가 신통치 않아 치킨으로 바꿨지만 형편은 나아지지 않았다. 주변에 치킨집이 생겨 매출은 1년 전보다 줄었다.
작년 70% 매출, 이익 줄어
중소벤처기업부는 26일 ‘전국 소상공인 실태 시험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8월 27일부터 9월 14일까지 전국 9546개 소상공인 사업체에 조사원을 보내 면접 형태로 조사했다. 치킨집을 운영하는 점주 김씨의 사례는 이 통계를 반영해 각색한 것이다. ‘한국의 평균적인 소상공인’의 삶이다. 이들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중소기업에 다니다가 퇴사, 평균 39.8세에 첫 창업에 나섰다. 종잣돈은 평균 1억1000만원. 생계를 위해 창업에 나섰지만 앞길은 평탄치 않았다.
자영업자의 73.5%는 “폐업 경험이 1회 이상 있다”고 밝혔다. 그래도 할 수 있는 일은 장사밖에 없었다는 얘기다.
이들이 2017년 손에 쥔 평균 월수입은 269만원이었다. 같은 해 임금 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인 287만원보다 적다. “소상공인의 삶이 벼랑 끝에 내몰렸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소상공인의 연평균 매출은 2억379만원이었다. 하지만 비중을 보면 연매출 3600만원을 올리지 못하는 소상공인이 28.5%로 가장 많았다. 영업이익은 1년에 1200만~2400만원을 남기는 소상공인(28%)이 가장 많았다. 중간값을 12개월로 나누면 월평균 150만원을 손에 쥔 셈이다. 소상공인 사이에서도 소득 양극화가 심각하다는 의미다. 그마저도 매년 줄어들고 있는 곳이 대부분이다. 2016년보다 매출이 줄어든 곳은 70.9%, 영업이익이 감소한 곳은 72.1%였다.
상권 쇠퇴·경쟁업체 출현 등으로 매출 감소
형편이 어렵다 보니 고용인원은 평균 1명이 채 안 됐다. 무급으로 일하는 가족근로자를 쓰는 곳이 많았다. 고용현황을 보면 상용근로자 0.5명, 임시·일용직 0.2명, 무급가족종사자 0.2명 등이었다.
일할 사람을 구하기도 쉽지 않다. 57.6%가 직원을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유는 적합자 없음(12.3%), 지원자 없음(11.8%), 잦은 퇴사(10.3%) 순이었다.
자영업 형편이 어려워진 가장 큰 이유로는 상권 쇠퇴의 영향이 크다는 응답(46.2%)이 많았다. 경쟁 업체 출현(24.3%), 제품 및 업종 사양화(5.7%) 등의 이유도 있었다. 대형마트 프랜차이즈 온라인화 등에 밀려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인건비 상승(2.1%)과 임차료 상승(0.5%)을 꼽은 소상공인 수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김형영 중기부 소상공인정책관은 “최저임금이 오르기 전인 2017년에 대해 조사한 것이기 때문에 인건비 상승분에 대한 체감이 우선순위에서 밀렸다”고 설명했다.
소상공인의 영업비용은 연평균 1억7154만원이었다. 월평균 1429만원에 달했다. 원재료 66%, 인건비 14%, 임차료 5.5%, 세금·공과금 3.3%, 가맹수수료 0.9% 순이었다.
대부분 준비 없이 떠밀리듯 창업
이들이 어려운 데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었다. 김씨의 사례에서 보듯 퇴직 후 이렇다 할 생계 수단이 없어 준비도 없이 떠밀리듯 창업에 나서는 사례가 많았다. 창업 평균 나이는 39.8세, 생계형 창업은 66.7%에 달했다. 평균 창업 준비 기간은 10.2개월. 61.9%는 6개월 이하였다. 상대적으로 생존 가능성이 높은 프랜차이즈 비율은 7.7%에 불과했다. 제대로 된 준비도 없이 창업에 나선 탓에 폐업을 경험한 소상공인이 73.5%에 이르렀다.
소상공인 중 절반 이상은 소상공인 창업 지원이나 정책자금 등 정부 지원책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조사 대상의 83.9%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사업에 신청한 적이 없다”고 답했다. 신청하지 않은 이유는 ‘신청 방법 및 정보를 알지 못해서’(64.6%), ‘까다로운 자격 요건’(11.4%) 등이었다. 정책 홍보가 제대로 되지 않았고, 신청 절차도 소상공인들에겐 어렵다는 얘기다.
중기부는 본조사를 거쳐 결과를 기반으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자생력을 키우기 위한 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김 정책관은 “오는 8~9월 통계청과 공동으로 본조사를 추진한 뒤 정책에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
김씨는 중소기업을 다니다가 10여 년 전 퇴직했다. 처음엔 피자를 팔았다. 장사가 신통치 않아 치킨으로 바꿨지만 형편은 나아지지 않았다. 주변에 치킨집이 생겨 매출은 1년 전보다 줄었다.
작년 70% 매출, 이익 줄어
중소벤처기업부는 26일 ‘전국 소상공인 실태 시험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8월 27일부터 9월 14일까지 전국 9546개 소상공인 사업체에 조사원을 보내 면접 형태로 조사했다. 치킨집을 운영하는 점주 김씨의 사례는 이 통계를 반영해 각색한 것이다. ‘한국의 평균적인 소상공인’의 삶이다. 이들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중소기업에 다니다가 퇴사, 평균 39.8세에 첫 창업에 나섰다. 종잣돈은 평균 1억1000만원. 생계를 위해 창업에 나섰지만 앞길은 평탄치 않았다.
자영업자의 73.5%는 “폐업 경험이 1회 이상 있다”고 밝혔다. 그래도 할 수 있는 일은 장사밖에 없었다는 얘기다.
이들이 2017년 손에 쥔 평균 월수입은 269만원이었다. 같은 해 임금 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인 287만원보다 적다. “소상공인의 삶이 벼랑 끝에 내몰렸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소상공인의 연평균 매출은 2억379만원이었다. 하지만 비중을 보면 연매출 3600만원을 올리지 못하는 소상공인이 28.5%로 가장 많았다. 영업이익은 1년에 1200만~2400만원을 남기는 소상공인(28%)이 가장 많았다. 중간값을 12개월로 나누면 월평균 150만원을 손에 쥔 셈이다. 소상공인 사이에서도 소득 양극화가 심각하다는 의미다. 그마저도 매년 줄어들고 있는 곳이 대부분이다. 2016년보다 매출이 줄어든 곳은 70.9%, 영업이익이 감소한 곳은 72.1%였다.
상권 쇠퇴·경쟁업체 출현 등으로 매출 감소
형편이 어렵다 보니 고용인원은 평균 1명이 채 안 됐다. 무급으로 일하는 가족근로자를 쓰는 곳이 많았다. 고용현황을 보면 상용근로자 0.5명, 임시·일용직 0.2명, 무급가족종사자 0.2명 등이었다.
일할 사람을 구하기도 쉽지 않다. 57.6%가 직원을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유는 적합자 없음(12.3%), 지원자 없음(11.8%), 잦은 퇴사(10.3%) 순이었다.
자영업 형편이 어려워진 가장 큰 이유로는 상권 쇠퇴의 영향이 크다는 응답(46.2%)이 많았다. 경쟁 업체 출현(24.3%), 제품 및 업종 사양화(5.7%) 등의 이유도 있었다. 대형마트 프랜차이즈 온라인화 등에 밀려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인건비 상승(2.1%)과 임차료 상승(0.5%)을 꼽은 소상공인 수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김형영 중기부 소상공인정책관은 “최저임금이 오르기 전인 2017년에 대해 조사한 것이기 때문에 인건비 상승분에 대한 체감이 우선순위에서 밀렸다”고 설명했다.
소상공인의 영업비용은 연평균 1억7154만원이었다. 월평균 1429만원에 달했다. 원재료 66%, 인건비 14%, 임차료 5.5%, 세금·공과금 3.3%, 가맹수수료 0.9% 순이었다.
대부분 준비 없이 떠밀리듯 창업
이들이 어려운 데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었다. 김씨의 사례에서 보듯 퇴직 후 이렇다 할 생계 수단이 없어 준비도 없이 떠밀리듯 창업에 나서는 사례가 많았다. 창업 평균 나이는 39.8세, 생계형 창업은 66.7%에 달했다. 평균 창업 준비 기간은 10.2개월. 61.9%는 6개월 이하였다. 상대적으로 생존 가능성이 높은 프랜차이즈 비율은 7.7%에 불과했다. 제대로 된 준비도 없이 창업에 나선 탓에 폐업을 경험한 소상공인이 73.5%에 이르렀다.
소상공인 중 절반 이상은 소상공인 창업 지원이나 정책자금 등 정부 지원책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조사 대상의 83.9%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사업에 신청한 적이 없다”고 답했다. 신청하지 않은 이유는 ‘신청 방법 및 정보를 알지 못해서’(64.6%), ‘까다로운 자격 요건’(11.4%) 등이었다. 정책 홍보가 제대로 되지 않았고, 신청 절차도 소상공인들에겐 어렵다는 얘기다.
중기부는 본조사를 거쳐 결과를 기반으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자생력을 키우기 위한 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김 정책관은 “오는 8~9월 통계청과 공동으로 본조사를 추진한 뒤 정책에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