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가 보유한 쌍용건설 지분은 오는 22일 정부(금융위원회)에 넘어간다. 지분 매입에 사용한 부실채권정리기금의 운용기간이 이날로 만료돼 청산되기 때문이다. 외환위기 이후 부실채권 정리를 위해 마련된 이 기금은 정부와 케이알앤씨(옛 정리금융공사) 하나은행 등 23개 금융사의 출연으로 조성됐다.

이에 따라 금융위원회는 출자 비율에 따라 지분을 배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기금 출자 비율은 정부가 86%고, 금융사가 14%다. 그런데 금융위원회가 최근 정부 몫인 쌍용건설 지분의 85.95%를 하나은행 등 기금 출연 금융사에 떠넘기려 하자 채권은행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이렇게 될 경우 쌍용건설 최대주주는 일단 예금보험공사 산하 자회사인 케이알앤씨가 될 것으로 보인다. 케이알앤씨가 부실채권정리기금에 대한 출연 비율이 3.99%로 채권단 중 가장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식 감자와 함께 출자전환이 이뤄진다면 1000억원어치 이상의 채권을 보유한 우리은행이나 신한은행이 대주주가 될 가능성도 있다.

이 같은 움직임에 채권은행들은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한 은행 관계자는 “정부와 캠코가 지난해 말 채권은행이 쌍용건설에 1300억원의 신규 자금을 지원해주면 유상증자 후 우선 상환해주겠다고 약속했다”며 “캠코가 지금 와서 빠지고 뒷수습은 민간 금융회사들이 떠맡으라는 소리냐”고 반발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정권 말이라 정부도 발을 뺀 것 아니냐”며 “캠코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서 결정할 문제라고 떠넘기고, 공자위는 캠코가 처리해야 할 문제라고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으로 쌍용건설의 운명은 채권단이 ‘지원을 통한 회생 가능성’을 어떻게 보느냐에 달려 있다. 채권은행들은 캠코가 빠진 상태에서의 유상증자에 회의적인 분위기다.

한 채권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말 채권단이 지원한 1300억원도 벌써 흔적 없이 사라졌다”며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을 통한 출자전환 및 신규 자금 지원은 논의해봐야겠지만 쌍용건설이 회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야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한 투자은행(IB) 관계자는 “인수 후보자들은 일단 쌍용건설 관련 악재가 지나간 뒤 인수하길 원한다”며 “워크아웃이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이후 인수하려는 움직임도 있다”고 전했다.

장창민/이현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