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전쟁이 미국의 승리로 끝나면서 전후복구사업에 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리 업체들은 이미 중동지역에서 건설특수를 경험한 적이 있기 때문에 1천억달러로 예상되는 이라크 전후복구사업에 대한 기대가 클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정말 전후복구사업 특수를 기대해볼 만한 것인가. 결론부터 얘기하면 정부와 건설업체들의 노력여하에 달려 있다. 당연한 결론이지만 거기엔 나름대로 두가지 이유가 있다. 먼저 전후복구사업은 미국 주도로 이뤄질게 확실시되고 있다. 이 때문에 우리 건설업체들이 자체적으로 복구사업을 따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업계에서도 미국업체와의 협력 범위에 따라 우리 업체들이 차지할 수 있는 전후복구사업의 파이가 결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두번째는 정부가 얼마나 앞장서 뛰어 주느냐에 따라 복구사업 수주 물량이 결정될 전망이다. 정부가 발벗고 뛰어야 하는 이유는 우리나라가 이라크전쟁 파병을 결정했기 때문이다. 이라크를 포함한 중동국가들은 파병국가에 대해 부정적인 정서를 가질 수도 있다. 업체들의 수주 활동 폭이 넓어지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외교노력이 필요한 이유다. ◆ 단기적으론 기대할게 별로 없다 =업계는 전쟁 직후엔 도로 교량 건물 등을 복구하는 공사가 주로 발주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런 공사들은 우리 업체에 돌아올 몫이 거의 없다. 업계 관계자는 "이라크 인근 국가의 건설업체들도 높은 기술력을 요구하지 않는 이런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데다 우리업체들은 가격경쟁력에서 뒤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이 반미정서를 누그러뜨리기 위해 이라크 인근 국가 업체들에 토목 및 건축 공사의 하청을 맡길 가능성이 높은 것도 또 다른 이유라고 해외건설협회 관계자는 설명했다. 다만 정부가 도로 교량 등의 공사를 우리업체에 맡기는 조건으로 이라크에 대규모 복구사업비를 지원한다면 우리 업체들이 공사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당장 이익을 못내더라도 장기적으로 중동국가들의 건설 물량 수주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데다 파병을 결정한 우리나라에 대한 중동국가들의 정서를 바꾸는 데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 장기적으론 전망이 밝다 =우리 업체가 어느 정도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석유화학플랜트 및 발전소 등의 공사발주는 도로 교량 등 기반시설이 갖춰진 이후에야 기대할 수 있다. 업계는 앞으로 2년 정도 지나야 이라크에서 유화플랜트 등의 공사 물량이 본격적으로 발주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플랜트 공사도 우리 업체가 직접 나서 수주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승전국인 미국의 업체들이 공사수주를 싹쓸이 할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우리 건설업체들로서는 향후 1∼2년 동안 미국업체와 얼마나 협력관계를 돈독히 하느냐가 과제이다. 현대건설 김호영 부사장은 "공사수행 과정에서 미국기업에 비해 강점을 보일 수 있는 부분을 적극 알려 미국기업과 역할분담(role playing)할 수 있는 분야를 찾아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 경쟁력부터 갖추고 준비해야 =성급한 기대도 낙담도 할 상황은 아니다. 거대한 규모의 전후복구 시장이 선다고 장밋빛 환상을 가져서도 안되지만 미국과 영국의 업체가 시장을 독차지할 것이라고 예단할 필요도 없다는 얘기다. 해외건설협회 강윤모 회장은 "우리 업체들이 강점을 보이고 있는 플랜트공사를 이라크에서 가능한 많이 수주하기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차분히 준비하는게 최선"이라고 지적했다. 정부의 외교노력 못지 않게 업체들의 공사수행능력 여부가 이라크 전후복구사업 참여에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는 셈이다. 김호영 기자 h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