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뚝 떨어진 美 노조 가입률
1950년대 미국에서 노동조합에 가입한 근로자는 세 명 중 한 명꼴로 많았다. 1983년까지 노조 가입률은 20% 이상을 꾸준히 유지했다.

미 노동부가 지난주 발표한 작년 기준 가입률은 반전 드라마 같다. 전년 대비 0.2%포인트 하락한 10.1%를 기록했다.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최저치다. 근로자 열 명 가운데 아홉 명은 비노조원이란 얘기다.

연방정부도 충격을 받은 눈치다. 조 바이든 정부 들어 친(親)노조 기조를 노골화했기 때문이다. 노조는 바이든 정부의 주요 지지 기반이다.

작년 노조원 10.1% 역대 최저

바이든 대통령은 작년 아마존 스타벅스 등의 새 노조 대표를 백악관으로 초청해 격려했다. 새 정부 첫해인 2021년까지 무노조 경영을 고수했던 곳들이다. 근로자를 보호한다는 취지로 백악관 산하에 국가노동관계위원회(NLRB)를 설치했다. 기업들이 보수가 꽤 높은 노조 전임자를 허용하도록 별도 법안을 마련했다. 아마존과 스타벅스뿐만 아니라 애플 치폴레 트레이더조스 등에 잇따라 노조가 등장한 배경이다.

노조 가입률은 왜 뚝 떨어졌을까. 고용 시장의 호황이 첫 번째 원인이란 게 노동부의 설명이다. 일자리가 작년에만 총 530만 개 늘면서 신규 노조원 수를 압도했다는 것이다. 작년 노조에 새로 가입한 사람은 27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근본적인 이유는 다른 데 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가입률 하락이 1~2년 새 벌어진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비교적 안정적인 일자리로 꼽히는 공공 부문의 노조 가입률이 33.1%로 높은 편이지만, 훨씬 유연한 민간 부문 가입률이 6%에 불과한 점도 노조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지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왜 노조 가입이 저조할까’라는 칼럼에서 노조 간부의 부패를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했다. 노조 대표들이 조합비 편취를 관행화하며 신뢰를 스스로 무너뜨렸다는 것이다.

미국자동차노조(UAW)의 직전 위원장이던 게리 존스와 데니스 윌리엄스는 횡령 등 혐의로 구속됐다. 현직 회장인 레이 큐리도 비슷한 혐의를 받고 있다.

구태의연 관행에 근로자 외면

국제전기노동자연합의 필라델피아지부(로컬98) 간부들은 횡령·사기·절도 등이 확인돼 지난주 검찰에 무더기 송치됐다. 로컬98 출신 정치 거물인 존 도거티도 포함됐다. 그는 자신의 친척을 해고하려 한 협력업체를 협박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모든 혐의가 인정되면 도거티는 최장 20년의 징역형을 받을 수 있다는 법조계 설명이다.

근로자를 둘러싼 기업 및 고용 환경 역시 빠르게 변하고 있다. 고용시장 분석업체 라이트캐스트의 블레디 타스카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악시오스와의 인터뷰에서 “과거엔 노조가 근로자를 대표해 복지 개선과 임금 인상을 요구했으나 지금은 효용성이 한계에 부닥쳤다”며 “역설적이지만 경제가 성장하면서 근로자들이 노조란 보호막 없이 협상력을 갖추게 됐다”고 설명했다. 매달 납부하는 조합비 등을 감안할 때 노조 가입에 따른 ROI(투자 대비 수익)가 매력적이지 않다는 게 그의 얘기다.

케이트 브론펜브레너 코넬대 노동관계학과 교수의 지적은 노조가 꼭 귀담아들을 부분이다. “시대가 변하고 있는데도 노조만 모르고 있는 게 진짜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