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 수출이 6400억달러에 이르러 사상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는 것은 무엇보다 세계 경제가 코로나19에서 회복된 덕분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 경제 성장률이 지난해 -3.1%에서 올해 5.9%로 급반등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미국은 6%, 유럽연합(EU)은 5%, 중국은 8% 성장할 전망이다. 하지만 그간 한국 기업의 기초 체력이 튼튼해졌기 때문에 회복 국면에서 26%에 이르는 수출 증가율 달성이 가능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지난 10년간 한국 수출을 이끌어온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 등 전통 산업이 올해도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 여기에 바이오, 화장품, 전기차 배터리 등이 뒤를 밀고 있다.
반도체 부동의 1위···바이오·배터리·화장품도 '수출 주력'으로 부상

전통 산업의 견조한 성장

반도체·자동차·조선·디스플레이 등 수출 주력 품목은 올해도 수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다. 그중에서도 반도체는 ‘확실한 원톱’으로 자리매김했다. 반도체 수출은 2011년 501억달러, 2016년 622억달러에서 올 들어 11월까지 1152억달러로 껑충 뛰었다. 올해 1~11월 반도체가 한국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7%에 달했다.

특히 메모리 반도체는 올 1~9월 기준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58.9%)를 유지했다. 2위 미국(26.3%), 3위 일본(7.9%)과 여전히 큰 격차를 보였다. 삼성전자는 작년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수출 1100억달러(약 130조원)를 넘어섰는데 이는 단일 기업으로는 처음이다.

현대자동차·기아를 중심으로 한 완성차도 수출 효자 종목이다. 2017년 이후 하향세에 접어들었지만 올해 반등에 성공했다. 반도체 공급난으로 차량 생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황인 점을 감안할 때 기대 이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수소·전기차 등 고부가가치 친환경 차량 판매가 늘면서 수출 증가에 한몫했다는 평가다.

디스플레이도 지난 10년간 200억달러 수준의 수출액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은 지난 1~9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분야에서 시장 점유율 83.1%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기업별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60.4%, LG디스플레이가 22.7%의 시장 점유율을 보였다. 올해 1~11월 116억달러를 수출한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분야는 한국의 시장 점유율이 세계 1위로 뛰어올랐다. 2017년 11위에서 4년 만에 이룬 성과다.

약진하는 신산업

전통 주력산업 외에 바이오·농수산·화장품 등 신수출 유망 품목들도 약진했다. 시스템 반도체·친환경차·바이오헬스·2차전지·OLED·농수산식품·화장품 등은 모두 2018년 기록을 넘어 최대 수출 규모로 성장했다. 특히 바이오·2차전지·농수산식품·화장품 등 4개 품목의 수출이 2018년 대비 123억달러 늘었다. 전체 수출 증가분의 45%를 차지해 수출 최대 실적 달성에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화장품의 연간 수출액은 올해 11월까지 85억1000만달러를 기록, 처음으로 화장품 수출 세계 5위권에 진입했다. 바이오헬스 중 진단용 제품은 9월까지 수출액이 14억6000만달러로 집계돼 수출 순위가 세계 6위로 올라섰다.

고부가가치 품목의 수출 증가도 눈에 띈다. 올해 수출 단가는 2018년 대비 12.6% 높아지면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액화천연가스(LNG)선·전기차·OLED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비중이 커진 게 주요인이다. LNG선 수출은 2018년 23척에서 올해 43척으로 늘었고, 같은 기간 수출 단가도 10.2% 상승했다.

정부는 내년에도 글로벌 교역 및 수요 확대 등으로 실물경제 회복세가 지속돼 수출 증가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올해 수출액 사상 최대 실적 경신은 공급망 차질, 물류대란 등 여러 난관을 극복하고 이뤄낸 값진 성과”라며 “내년에도 수출 증가세를 이어갈 수 있도록 현장 애로 해소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지훈/박신영 기자 liz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