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는 미국 장기 국채금리가 2007년 이후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했다는 소식에 하락했다.3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30.97포인트(1.29%) 하락한 33,002.38로 거래를 마쳤다.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8.94포인트(1.37%) 떨어진 4,229.45로,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48.31포인트(1.87%) 밀린 13,059.47로 장을 마감했다.투자자들은 국채금리의 가파른 상승세와 채용 관련 경제 지표, 연방준비제도(연준·Fed) 당국자들의 매파적 발언 등을 주시했다.국채금리는 연준이 더 높은 금리를 더 오래 유지할 것이라는 우려로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10년물 국채금리가 4.8%를 돌파하며 2007년 8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30년물 국채금리도 4.9%를 넘어서며 2007년 9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3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7.72%까지 올라 8%에 육박했다.강한 경제 지표와 함께 연준 위원들이 높은 금리를 오랫동안 유지하자는데 대체로 동의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고금리 환경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레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높은 금리를 오랫동안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보스틱 총재는 금리 동결을 주장하면서도 "나는 (금리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보스틱 총재는 연준 내 대표적인 비둘기파 위원으로 꼽히지만, 조만간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을 차단하면서 고금리 환경이 장기화할 위험을 높였다.앞서 로레타 메스터 미국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올해 기준금리를 연내 한 차례 더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미셸 보먼 연준 이사도 "인플레이션을 제때 2%로 되돌리기 위해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할 것으로 계속 예상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지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위원들의 대다수는 올해 1회 더 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했다.올해 1회 더 금리를 인상할 경우 내년에는 0.25%포인트씩 2회 금리가 인하될 것으로 예상했다.이는 5%를 웃도는 고금리 환경이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는 의미다.경제 지표가 강한 모습을 유지하고, 연준 당국자들의 매파적 발언이 지속되면서 연준이 더 오래 더 높은 금리를 유지할 위험은 커지고 있다.국채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 기업들의 미래 수익이 타격을 입고 기업들의 차입비용이 커진다.이날 발표된 8월 채용공고는 961만건으로 전달보다 69만건가량 증가했다.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880만건도 웃돈 것으로 고용 시장이 여전히 타이트하다는 점을 시사했다.8월 채용공고는 4월 이후 최고치다.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주식시장이 바닥을 찾기 위해서는 우선 채권시장의 매도세가 진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인디펜던트 어드바이저 얼라이언스의 크리스 자카렐리 최고투자책임자(CIO)는 통상 주식시장은 9월과 10월에 계절적으로 약세를 보이지만, 금리가 계속 오른 데 따른 우려가 주가를 더 아래쪽으로 밀어 내리고 있다고 말했다.그는 "주식에 대한 위협은 금리 쪽에서 더 크다"라며 "주식이 바닥을 찾기 전에 채권 시장에서 이번 매도세를 극복하고, 어떤 식으로든 균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노스엔드프라이빗 웰스의 알렉스 맥그래스 CIO는 "금리 상승이 주식시장에 상당한 역풍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연준이 11월에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69.1%를, 0.25%포인트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30.9%를 기록했다.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2.17포인트(12.32%) 오른 19.78을 기록했다./연합뉴스
'월가의 황제'로 불리는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체이스 최고경영자 겸 회장이 미국의 기준금리가 7%까지 오를 것에 대비해야한다고 재차 경고했다.다이먼 회장은 현지시간 2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지난해 5% 금리가 온다고 말할 때 사람들은 정말로 그렇게 되느냐고 물었다"면서 "지금도 7% 금리가 가능하냐고 묻고 있지만, 가능한 일"이라고 밝혔다.미국의 기준금리는 연 5.25~5.50%로 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여부에 시장이 촉각을 세우고 있다.다이먼은 "수요 공급 압력 지금도 여전하다"면서 "지금보다 10년물 국채금리가 더 오를 수 있어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지난주 인도에서 열린 콘퍼런스에서도 다이먼 회장은 현지 매체와 인터뷰에서 "금리가 3%에서 5%로 오를 때보다 5%에서 7%로 인상될 때가 훨씬 고통스럽다"면서 ""금리 7% 시대에 준비가 돼 있는지 모르겠다"고 우려한 바 있다.미국 국채 시장은 다이먼 회장의 경고 이후 연준 위원들의 추가 금리인상과 긴축 장기화를 시사한 매파 발언이 이어지며 장중 급격한 가격 하락을 기록했다.전세계 채권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미국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3일 장중 연 4.8%를 돌파했고, 30년물 금리는 현지시간 3일 오후 4시 현재 13.1bp 오른 4.927%로 1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 중이다.김종학기자 jhkim@wowtv.co.kr
뱅크오브아메리카는 PC및 프린터 업체인 HP(HPQ)가 “바닥을 쳤다”며 언더퍼폼에서 매수로 두단계 상향 조정했다. 목표주가도 25달러에서 33달러로 올렸다. 이는 월요일 종가인 25.67달러보다 28% 상승 여력이 있다.3일(현지시간) CNBC와 마켓워치 등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중국의 수요둔화와 일본업체와의 경쟁 심화에도 불구하고 HP의 강력한 펀더멘털이 업그레이드의 촉매제라고 밝혔다. 이 은행의 분석가 왬시 모한은 HP가 엄격한 비용 통제로 수익성이 개선되고 PC시장이 올해 바닥을 치고 수요가 회복되면서 매출 성장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의 증가로 향후 몇 년간 안정적인 잉여현금흐름이 이어지면서 펀더멘털이 강력하게 개선될 것이라고 밝혔다. 분석가는 HP 주가가 올들어 4%이상 하락한데 따른 현재의 주가배수가 회사가 직면한 단기적 압박과 장기적 기회사이에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뱅크오브 아메리카의 두단계 투자의견 상향으로 이날 뉴욕증시 오전장에서 HP 주가는 2.24% 오른 26.29달러에 거래중이다. 한편 워렌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BRK.A, BRK.B)는 HP의 지분을 9일 연속 매도했다. 이에 따라 버크셔의 HP에 대한 지분은 10.2%까지 낮아졌다. 버크셔 해서웨이는 규제당국에 제출한 서류에서 지난주 목요일부터 전 날까지 HP 주식 510만주 이상을 1억3,200만달러(1,820억원)이상에 매도했다고 밝혔다. 평균 매도 단가는 주당 25.76달러이다. 이전 매도일시를 포함한 9일 연속 매각 기간 동안 버크셔는 1,450만 주를 약 3억 8,100만 달러에 매도했다. 9월 중순에도 있었던 매도 시점을 추가하면 버크셔는 총 2,000만 주를 5억 3,950만 달러에 팔았다. 평균 매도가격은 26.93달러이다. 버크셔는 여전히 월요일 종가 25.67달러 기준으로 26억 달러(3조6,000억원) 상당의 1억900만주를 보유하고 있다. 이는 HP의 발행주식수 중 10.2%이다. 최근 매도전의 지분율은 12.1%였다. 버크셔는 더 이상 HP의 최대 주주가 아니며 뱅가드보다 지분율이 낮아졌다.버크셔 해서웨이는 2022년 4월에 처음으로 HP 주식을 매입했다. 그러나 작년에 주식이 28% 이상 하락해 수익을 내지 못했다. 올해도 4.5% 하락해 시장과 동종 기술주 대비 크게 저조한 성과를 보였다. 버크셔의 지분이 10% 미만으로 떨어지면 더 이상 모든 HP 주식 거래를 적시에 보고할 필요가 없어 매도 사실을 파악하는데 시간이 걸린다.일부에서는 버핏의 의도가 HP 투자를 완전히 포기하는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버핏은 이전에 주식 포지션을 회사의 사업을 소유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에 어떤 회사의 주식을 판다면 전체 지분인 경우가 많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