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 운영 어려움…지역맞춤형 교육 제안

[※ 편집자주 = 충남도의회 의원들은 26개 연구모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도의원과 전문가, 공무원 등이 머리를 맞대 지역 현안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정책을 제안하거나 조례안을 마련하는 게 목적입니다.

연합뉴스는 연구모임 취지와 활동 내용, 정책 대안 제시, 입법화 과정 등을 소개하는 기획 기사를 매주 1건씩 26회에 걸쳐 송고합니다.

]
[열공! 충남도의회] "농어촌 학교 폐교 위기, 마을교육공동체로 돌파"
폐교 위기에 처한 지방 소규모학교를 살리기 위해서는 마을주민이 함께 교육에 참여하는 '마을교육공동체'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29일 충남도의회에 따르면 김명숙(청양·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비롯한 도의원과 공무원, 주민들로 구성된 연구모임은 학령인구 감소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교생이 60명 이하인 소규모학교는 2020년 전국에 2천188개로 2001년(1천402)에 비해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 가운데 91.1%인 1천994개 학교가 지방에 있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도시와 농촌지역의 교육환경 격차도 벌어진다.

소규모학교들은 농어촌까지 출강하는 방과후강사를 구하기도 어려운 실정으로, 강사 부족으로 다양한 프로그램 개설에 어려움을 겪는다.

초등학교의 학교당 방과후학교 강좌 수를 살펴보면 농어촌지역은 교과과목 분야 3개로 도시지역(6.5개)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주민을 주축으로 차별화한 마을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방과 후 활동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는 게 연구모임의 설명이다.

마을과 학교가 아이들을 함께 키우고, 마을이 아이들의 배움터가 되도록 하는 환경을 만드는 마을교육공동체를 구성하자는 것이다.

전남 영광군 묘량면 묘량중앙초등학교가 전교생 12명으로 폐교 위기에 처하자, 주민들이 졸업생의 후원을 끌어내고 '우리 마을 역사탐험대', '어린이 농부학교', '마을 생태 과학 교실' 등을 운영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순천 별량면에서는 지역 청소년들이 주민과 함께 지역문제 해결 방안을 고민하고, 정책을 제안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마을 주민들도 공동체 의식을 높이고, 다양한 동아리 활동 등을 펼치기도 한다.

다만 마을교육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만큼 마을 교육에 대한 이해와 공감대를 넓히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연구모임은 설명한다.

아울러 인구감소지역의 학교와 지역은 운명 공동체라는 인식과 학교와 마을을 연결할 중간 조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명숙 의원은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는 단순히 교육적인 측면에서만 필요한 게 아니다"라면서 "인구소멸 위기 지역의 지속 가능한 공동체를 차원에서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대표적인 마을 조직인 주민자치회 등 주민협의체 간 연계를 강화하고, 기초·광역 단위 지방정부의 조정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