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미국에서 파산 보호를 신청한 기업이 8년 만에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기업 줄도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상반기만 3604곳 파산 신청…美기업 '줄도산 공포' 커졌다
12일 미국파산협회에 따르면 올해 1~6월 파산 보호 신청 건수는 총 3604건으로, 작년 동기(2855건) 대비 26.2% 급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및 유럽 재정위기 여파로 부도 업체가 쏟아졌던 2012년(4122건) 후 최대 규모다.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했던 4~6월만 놓고 보면 1891개 기업이 파산 보호를 신청했다. 작년 동기보다 40% 증가했다.

미국의 파산 보호는 기업 채무이행을 일시 중지하고 자산 매각을 통해 기업을 정상화하는 절차다. 연방 파산법(챕터11)에 근거를 두고 있다. 파산 보호 신청이 법원에서 받아들여지면 채무이행이 중단되고 은행 등 채권자 중심의 위원회와 회사 측이 공동 회생안을 짜게 된다. 한국의 법정관리와 달리 종전의 기업 대표가 경영권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미국에선 최근 파산 보호를 신청한 기업이 급증세다. 의류 업체인 브룩스브라더스부터 렌터카 업체 허츠, 항공사 라탐항공, 셰일 업체 체서피크에너지, 백화점 JC페니 등이 대표적이다. 코로나19 전부터 경영 상황이 좋지 않았거나 부채에 시달리다 전염병 사태로 결정타를 맞았다는 분석이 많다. 허츠의 부채 규모만 해도 총 190억달러에 달한다.

아예 채무불이행(디폴트)을 선언하는 기업이 더 쏟아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올 1분기 미 기업들의 총 부채는 10조5000억달러로 집계됐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 규모다. ‘디폴트 도미노’에 따라 영세 상인 및 연금 생활자 등 무담보 채권자들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란 지적이 제기된다.

대니 올트먼 영국 런던 임페리얼칼리지 교수는 “올해 66곳 이상의 기업이 10억달러를 초과하는 채무를 지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금융위기 때인 2009년(49곳)을 훌쩍 넘어서는 규모다. 최소 1억달러 부채로 파산 위기에 처한 기업은 192곳으로, 2009년의 242곳에 육박할 것으로 관측됐다.

중소기업의 피해는 더욱 클 것이란 예상이다. 파산 보호를 신청한 대기업은 부채 협상 및 구조조정을 통해 사업을 이어갈 수 있지만 중소기업은 이마저 어려운 탓이다. 전문가들은 “위기의 중소기업들이 살아남게 되더라도 상당수 직원은 일자리를 잃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