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지난 4일부터 △포토레지스트(감광액) △에칭가스(고순도 불화수소) △플루오린 폴리이미드(PI) 등 3개 소재의 한국 수출을 허가제로 전환했다. 황민성 삼성증권 연구원은 “보통 수출 허가 심사에는 20~30일이 소요되나 최장 90일까지 지연되거나, 아예 허가를 못 받을 수도 있다”며 “갈등이 장기화되거나 제재 범위가 확대되면 한국 기업들이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인 영향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으로 산업 변화를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한국이 메모리 반도체 사업을 과점하고 있어 메모리 가격을 올리거나 악성 재고를 털어내는 등 긍정적인 면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는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6조원 규모의 반도체 소재와 부품, 장비 개발비를 투입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제품 생산에 쓰이는 주요 소재의 재고를 충분히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단기간에 생산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은 작다”며 “이번 사태가 15% 수준에 불과한 반도체 소재의 국산화율을 더욱 빠르게 끌어올리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국경제TV 전문가인 신현식 파트너는 “단기적인 충격과는 별개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산화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다”며 “동진쎄미켐, SKC코오롱PI 등 IT 소재를 생산하는 국내 기업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기만 기자 m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