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낮없이 연구 몰두하던 동료들
비난 여론에 해외 대학으로 떠나
日 원전사고 잘못된 정보 넘쳐
'공포 마케팅'으로 탈원전 주장
편견·이념으로 정책 집행 안돼
젊은 과학도들이 문재인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에 대해 성토와 울분을 쏟아냈다. 18일 한반도선진화재단과 윤상직 자유한국당 의원실이 주최하고 한국경제신문사가 후원한 ‘청년이 바라보는 원자력’ 세미나에서다.
◆“동료 원전 연구자들 해외로”
신동호 연구원은 2008년 서울대 원자핵공학과에 입학했다. 2009년 한국이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수출에 성공한 건 전문 연구자를 꿈꾸는 계기가 됐다. “공부할 맛이 나던 시절이었다”고 한다.
2011년 후쿠시마 사고가 난 뒤 원자력발전소 안전 문제가 제기됐을 때만 해도 상황은 나쁘지 않았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 이후 상황이 달라졌다. 신 연구원은 “현장에서 벌어진 원전 비리는 학계와 무관한데도 정부와 시민단체가 학자들까지 싸잡아 원전 마피아로 몰아갔다”며 “지친 동료 연구자들이 하나둘 해외 대학으로 ‘탈출’하고 있다”고 했다.
“원자력과 과학기술이 국가에 기여한다는 생각으로 밤낮없이 연구한 대가가 결국 범죄자 취급을 받는 것이냐”고 그는 울분을 토했다. “정부가 전문가를 배제하고 비전문가들의 이념적 선택에 따라 정책을 결정하고 있다”며 “이런 현실을 보고 과학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도 했다. 신 연구원은 지난 8월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 역시 동료들처럼 해외 대학으로 떠나 연구원 생활을 이어갈지 고민 중이다.
◆“탈원전 진영 주장 허점 알아야”
이 같은 상황이 벌어진 이유로 과학도들은 탈원전 진영의 ‘공포 마케팅’을 꼽았다. 전북교육청이 2015년 발간한 ‘탈핵으로 그려보는 에너지의 미래’ 보조교재가 대표적인 사례다. 환경운동가 교사 등이 집필한 이 교재는 작년 10월 국회 국정감사 때도 편향성 논란을 빚었다. “원전 사고로 일본 전역이 방사능 고농도 오염지역이 됐다”는 주장 등 사실과 다른 내용이 상당수 포함돼 있어서다. 하지만 이 교재는 여전히 전북 내 모든 초·중·고교에서 활용되고 있다.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UST) 양자에너지화학공학과에 재학 중인 윤선광 씨(24)는 반핵단체들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는 먼저 “환경단체에서 3년 동안 활동할 정도로 탈원전에 찬성했지만 공부를 시작하자마자 잘못된 생각이란 걸 깨달았다”고 고백했다. 이어 “원전 사고보다 차 사고로 사망하는 사람이 월등히 많지만 차를 운행하지 말자고 하는 사람은 없다”며 “그토록 안전을 걱정하는 이들이 왜 중국 동해안에 건설 중인 수많은 원전에 침묵하느냐”고 반문했다.
이날 과학도들은 자신과 같은 젊은 세대에 탈원전 정책의 명암을 알리는 게 급선무라는 데 공감했다. 서울대 사범대학원에 재학 중인 김수인 씨(33)는 “원전이 에너지 안보와 경제성 등에서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젊은 층에 널리 알려야 한다”고 말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