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1월부터 감소세 이어져
세부적 통계 기준 불분명
정부는 원인 파악도 못해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탓"
"온라인 강의 확산 영향"
전문가들 분석 엇갈려
통계청의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이 기간 전체 취업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 가운데 고용 사정이 유독 안 좋은 분야 중 하나가 교육서비스업이다. 국공립 및 사립학교 교직원, 교육산업, 학원 등이 모두 포함된 교육서비스업의 8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3만6000명 줄었다. 표준산업분류상 21개 대분류 산업 중 다섯 번째로 감소폭이 컸다. 지난해 교육서비스업은 10월까지 월평균 5만6000명의 취업자 수 증가세를 유지했다. 그런데 11월부터 감소세로 돌아서더니 올해 4~6월엔 전년 동기에 비해 10만 명 안팎의 감소세를 보였다.
최근의 교육서비스업 취업자 수 급감은 이례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1993년 이후 약 25년간 이 분야에서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10개월 연속 감소한 적은 2010년 7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한 번밖에 없었다. 이때를 제외하면 외환위기 때인 1997년 전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발했던 2008년 전후에도 취업자 수가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2010년 하반기는 정부가 외국어고 과학고 등 특목고의 학교별 고사를 금지한 여파로 그때까지 번성하던 특목고 입시 학원들이 일제히 문을 닫았기 때문”이라며 “올 들어선 고용시장에 충격파를 줄 만큼 중대한 교육정책 변화는 없었다”고 말했다.
◆‘최저임금 인상’ 등 가설만 난무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최근 교육서비스업 분야의 취업자 수가 급감한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 기획재정부, 통계청, 교육부 등에 문의했지만 어느 곳에서도 속시원한 답변을 듣지 못했다고 한다.
교육서비스업 분야의 취업자 수 급감 이유가 베일에 가려진 근본 원인은 통계청의 조사 방식에 있다. 통계청은 취업자 수를 조사할 때 21개 대분류를 기준으로 산업별 취업자 수를 파악한다. 그런데 제조업을 비롯해 17개 산업은 내부적으로 복수의 중분류를 적용해 취업자 수를 조사하지만 교육서비스업을 비롯한 4개 산업은 그런 중분류 자체가 없다. 이 때문에 교육서비스업 분야 취업자 수가 급격히 변동돼도 세부적으로 어떤 산업에서 원인을 제공했는지 알 수 없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전문가들은 다양한 ‘가설’만 제시하고 있다. 우선 공교육 분야는 취업자 수 급감과 관계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교사들은 정년보장이 확실히 되는 데다 매년 신규 선발 인원도 일정하기 때문이다.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이 취업자 수 감소를 초래했을 것이란 가설도 있다. 하지만 국내 최대 교육기업인 대교, 메이저 학원기업인 이투스 등 대다수 교육업체는 “최저임금 인상 때문에 구조조정을 단행하거나 사람을 덜 뽑진 않았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정보통신기술 발달로 온라인 강의가 갈수록 대중화되고 있는 것이 고용여건 악화를 유발했을 것이란 추정도 내놓고 있다. 한 국책연구소의 교육담당 연구위원은 “확실한 원인을 알 순 없지만 교육서비스업 분야에는 일자리가 줄어들 만한 요인이 다양하다”며 “향후 대학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 취업자 수 감소세는 더 가속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