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에도 M&A "열풍"..'아시아 INC'지 작년 50대 M&A 분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구시장의 전유물로 인식돼온 기업인수/합병(M&A) 열풍이 아시아시장
에서도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의 기업사냥꾼들이 아시아의 신흥성장지역으로 몰려드는
것은 물론 아시아기업들도 서구유망기업들을 낚아채기 위해 혈안이다.
홍콩에서 발행되는 경제월간지 "아세아INC" 6월호는 지난해 아시아기업들의
50대 M&A를 살펴본 결과 최소규모가 1억2천3백만달러로 94년의 8천만달러
보다 50% 증가했다고 밝혔다.
불과 2-3년전까지만 해도 일본을 제외하고는 M&A무풍지대나 다름없던
아시아지역에서 지난해에는 1억2천만달러이상의 M&A가 50건이나 이뤄진
셈이다.
국적별로 아시아50대 M&A를 보면 일본기업들이 11건(전체규모 4백2억달러)
으로 역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말레이시아의 9개 M&A가 50대에 들어가 건수로 2위를 차지했으나
규모면에서는 22억7천만달러로 7개 한국기업들의 29억8천만달러를 합친 것
보다 적었다.
지난해에는 특히 동남아시아지역의 기업들이 싱가포르증시를 무대로 국경을
초월한 M&A를 활발히 펼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50대안에 들어간 인도네시아기업들의 M&A 4건이 모두 이같은 사례다.
최근 아시아지역 M&A에서는 이같은 양적인 증가보다 질적 변화가 더 주목해
할 대목.
미국의 금융시장전문조사회사인 시큐리티데이터는 종전까지 아시아 기업들
이 주로 미국이나 유럽기업들의 M&A표적이었으나 지난해부터는 이같은
상황이 역전된 것으로 최근 집계했다.
지난해 아시아기업들의 미국이나 유럽기업 인수규모는 총 1백35억달러에
달한데 비해 피인수규모는1백5억달러에 그쳤다.
94년에는 미국및 유럽기업들의 아시아기업 사냥규모가 69억달러로 반대의
경우보다 7억달러 많았다.
아시아가 서로 물고 물리는 "M&A의 정글"로 변하는 동시에 아시아기업들이
사냥터를 전세계로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원래 M&A는 서구식 기업문화의 산물이다.
동양의 가치관으로는 기업이 소유와 상속의 대상이지 기업 자체를 사고팔아
돈을 번다는게 어색하다.
기업본래의 목적을 등한시한 채 자신의 피와 살이나 다름없는 회사를 팔아
넘겨 돈벌 궁리를 하는 기업가는 적어도 아시아지역에선 도덕적 비난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아시아 기업가들도 이제는 "기업의 목적은 곧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이라는 살벌한 논리에 점차 빠져들고 있다.
또 최근 아시아기업들의 M&A양상을 보면 "늦게 배운 도둑질이 더 무섭다"는
속담 그대로다.
아시아INC지는 아시아기업들의 M&A다룬 특집기사에서 "처음 교섭에 들어갈
때는 아주 정중하고 조심스럽게 접근하면서도 낚아 챌 시점에는 표독스럽고
야비하기까지 하다"고 지적햇다.
이 때문에 아시아의 대형 M&A에서는 기업소유주 가족들간에 불화가
뒤따른다든지 기업 임직원내부의 매수.협잡이 벌어지는게 다반사다.
여기에다 법정으로까지 가서 분쟁을 조절해야만 M&A가 마무리되는 사례도
한둘이 아니다.
미국의 M&A전문기업들조차 아시아의 이런 투자환경에 곤혹을 치러고 있다.
지난해 제너럴일렉트릭캐피털(GEC)의 홍콩 유나이티드머천트파이낸스(UMF)사
인수가 대표적인 경우.
UMF의 대주주는 GEC에 50%의 지분을 매각하면서 회사간부 40여명을 은밀히
끌어들여 인수경쟁에 동참하도록 만들었다.
GEC는 인수협상에 나설 때 경쟁자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대주주의
농간으로 당초 인수예상가격 보다 훨씬 많은 1억4천만달러를 내고서야 이
회사를 넘겨받았다.
정부가 개입한 M&A조차 뒷얘기가 무성하다.
인도네시아 정보통신부는 지난해 2월 국영 위성통신사인 세틀린도의 지분
25%에 대해 외국기업들까지 참여한 공개경쟁입찰을 실시하면서 국제적인
추태를 보여줬다.
최초 낙찰자로 영국의 C&W가 선정돼 기자회견을 통해 공식화할 예정
이었으나 발표당일 아무 설명도 없이 기자회견을 취소했다.
인도네시아정부는 한달뒤 도이췌텔레콤사에 5억8천6백만달러로 낙찰됐다고
발표했다.
한국기업의 해외M&A에 대해서도 시각이 그리 곱지 않다.
지난해 LG전자가 미TV회사인 제니스전자를 3억5천만달러에 인수한데 이어
삼성전자가 PC업체 ATS리서치를 3억7천8백만달러에 사들이는 등 한국기업들
의 대형 M&A가 미재계를 깜짝 놀라게 했다.
금융전문가들은 한국기업들의 M&A 동기에 대해선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M&A기술과 절차에 대해선 한국기업들을 한묶음으로 비웃고 있다.
삼성전자의 AST인수과정에서 자문역할을 했던 솔로몬브라더스의 그레그폴
M&A실장은 "한국기업들은 목표를 정하면 물불 가리지 않고 반드시 성취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갖고 있다"면서 "벌써 미국의 약삭빠른 M&A전문가들은
한국기업들간 경쟁을 붙여 많은 돈을 벌 생각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13일자).
에서도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의 기업사냥꾼들이 아시아의 신흥성장지역으로 몰려드는
것은 물론 아시아기업들도 서구유망기업들을 낚아채기 위해 혈안이다.
홍콩에서 발행되는 경제월간지 "아세아INC" 6월호는 지난해 아시아기업들의
50대 M&A를 살펴본 결과 최소규모가 1억2천3백만달러로 94년의 8천만달러
보다 50% 증가했다고 밝혔다.
불과 2-3년전까지만 해도 일본을 제외하고는 M&A무풍지대나 다름없던
아시아지역에서 지난해에는 1억2천만달러이상의 M&A가 50건이나 이뤄진
셈이다.
국적별로 아시아50대 M&A를 보면 일본기업들이 11건(전체규모 4백2억달러)
으로 역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말레이시아의 9개 M&A가 50대에 들어가 건수로 2위를 차지했으나
규모면에서는 22억7천만달러로 7개 한국기업들의 29억8천만달러를 합친 것
보다 적었다.
지난해에는 특히 동남아시아지역의 기업들이 싱가포르증시를 무대로 국경을
초월한 M&A를 활발히 펼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50대안에 들어간 인도네시아기업들의 M&A 4건이 모두 이같은 사례다.
최근 아시아지역 M&A에서는 이같은 양적인 증가보다 질적 변화가 더 주목해
할 대목.
미국의 금융시장전문조사회사인 시큐리티데이터는 종전까지 아시아 기업들
이 주로 미국이나 유럽기업들의 M&A표적이었으나 지난해부터는 이같은
상황이 역전된 것으로 최근 집계했다.
지난해 아시아기업들의 미국이나 유럽기업 인수규모는 총 1백35억달러에
달한데 비해 피인수규모는1백5억달러에 그쳤다.
94년에는 미국및 유럽기업들의 아시아기업 사냥규모가 69억달러로 반대의
경우보다 7억달러 많았다.
아시아가 서로 물고 물리는 "M&A의 정글"로 변하는 동시에 아시아기업들이
사냥터를 전세계로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원래 M&A는 서구식 기업문화의 산물이다.
동양의 가치관으로는 기업이 소유와 상속의 대상이지 기업 자체를 사고팔아
돈을 번다는게 어색하다.
기업본래의 목적을 등한시한 채 자신의 피와 살이나 다름없는 회사를 팔아
넘겨 돈벌 궁리를 하는 기업가는 적어도 아시아지역에선 도덕적 비난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아시아 기업가들도 이제는 "기업의 목적은 곧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이라는 살벌한 논리에 점차 빠져들고 있다.
또 최근 아시아기업들의 M&A양상을 보면 "늦게 배운 도둑질이 더 무섭다"는
속담 그대로다.
아시아INC지는 아시아기업들의 M&A다룬 특집기사에서 "처음 교섭에 들어갈
때는 아주 정중하고 조심스럽게 접근하면서도 낚아 챌 시점에는 표독스럽고
야비하기까지 하다"고 지적햇다.
이 때문에 아시아의 대형 M&A에서는 기업소유주 가족들간에 불화가
뒤따른다든지 기업 임직원내부의 매수.협잡이 벌어지는게 다반사다.
여기에다 법정으로까지 가서 분쟁을 조절해야만 M&A가 마무리되는 사례도
한둘이 아니다.
미국의 M&A전문기업들조차 아시아의 이런 투자환경에 곤혹을 치러고 있다.
지난해 제너럴일렉트릭캐피털(GEC)의 홍콩 유나이티드머천트파이낸스(UMF)사
인수가 대표적인 경우.
UMF의 대주주는 GEC에 50%의 지분을 매각하면서 회사간부 40여명을 은밀히
끌어들여 인수경쟁에 동참하도록 만들었다.
GEC는 인수협상에 나설 때 경쟁자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대주주의
농간으로 당초 인수예상가격 보다 훨씬 많은 1억4천만달러를 내고서야 이
회사를 넘겨받았다.
정부가 개입한 M&A조차 뒷얘기가 무성하다.
인도네시아 정보통신부는 지난해 2월 국영 위성통신사인 세틀린도의 지분
25%에 대해 외국기업들까지 참여한 공개경쟁입찰을 실시하면서 국제적인
추태를 보여줬다.
최초 낙찰자로 영국의 C&W가 선정돼 기자회견을 통해 공식화할 예정
이었으나 발표당일 아무 설명도 없이 기자회견을 취소했다.
인도네시아정부는 한달뒤 도이췌텔레콤사에 5억8천6백만달러로 낙찰됐다고
발표했다.
한국기업의 해외M&A에 대해서도 시각이 그리 곱지 않다.
지난해 LG전자가 미TV회사인 제니스전자를 3억5천만달러에 인수한데 이어
삼성전자가 PC업체 ATS리서치를 3억7천8백만달러에 사들이는 등 한국기업들
의 대형 M&A가 미재계를 깜짝 놀라게 했다.
금융전문가들은 한국기업들의 M&A 동기에 대해선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M&A기술과 절차에 대해선 한국기업들을 한묶음으로 비웃고 있다.
삼성전자의 AST인수과정에서 자문역할을 했던 솔로몬브라더스의 그레그폴
M&A실장은 "한국기업들은 목표를 정하면 물불 가리지 않고 반드시 성취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갖고 있다"면서 "벌써 미국의 약삭빠른 M&A전문가들은
한국기업들간 경쟁을 붙여 많은 돈을 벌 생각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1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