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식생활에서 간장은 모든 음식의 간을 맞추는 가장 기본적인 식품
이다.

항상 식탁의 한가운데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그런데 요즘 시민들은 이 간장을 먹어야 할지, 먹지 말아야 할지 고민이다.

시민단체의 유해론이 나온지 10여일이 넘었지만 뚜렷한 결론이 나지
않아서다.

시민단체와 정부의 유무해 공방은 여전히 시민들의 갈피를 잡지 못하게
하고 있다.

당초 유해론을 들고 나왔던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지난 6일 오후 시판중
인 왜간장, 즉 산분해간장이 "사람 몸에 해롭지 않다"는 전날의 보건복지부
발표를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다시 말해 보건복지부가 "유해성을 입증할 증거가 없다"는 세계보건기구
(WHO)의 회신내용을 근거로 "산분해간장은 무해하다"고 공식 발표한 것은
문제가 있다는 시각이다.

경실련은 "유해를 입증할 자료가 없다는 것이지 무해하다고 단정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이다.

식품안전 전문가들에게 의뢰한 결과 산분해간장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MCPD와 DCP는 분명히 유해물질이라고 주장했다.

복지부는 경실련의 이같은 주장에 대해 관련학자들과 세계보건기구의
견해를 들어 재차 "인체에 무해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왜간장에 대한 조사는 반대하고 있다.

문제의 물질들이 명백히 유해물질이라는 기준이 세계적으로도 없는데
어떻게 검사하느냐는 것이다.

또 검사를 한들 기준이 없는데 문제의 왜간장을 모두 거둬 들여 폐기할 수
있겠느냐는 반문이다.

다만 양측은 문제의 물질들이 암을 일으키거나 불임을 유발한다는 최초
시비에 대해서는 한발짝씩 물러선 인상이다.

세계보건기구도 이 물질들에 대해 국제식품규격위원회에서 조차 한계치를
정하지 않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세계보건기구가 밝혔듯이 한국의 간장에서 미국보다
많은 문제의 물질이 많이 검출된다는 사실이다.

국제적으로 공인된 기준치는 없으나 국내 소비자들이 상대적으로 질이
나쁜 왜간장을 사서 먹는 셈이다.

결국 간장생산을 중단할 수도 없고 간장을 수입하기도 마땅치 않다.

외국간장에도 문제의 물질들이 상당량 섞여 있기 때문이다.

이래저래 불안하고 피해를 보는 것은 시민들 뿐이다.

간장의 발암.불임물질 함유시비는 온 국민의 건강문제와 직결되어 있는
만큼 보건복지부는 조속히 규명하여 시민들이 안심하고 간장을 먹을 수 있는
조치가 있어야 한다.

홍승애 < 경기 성남 분당구 야탑동 >

(한국경제신문 1996년 3월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