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2일자) 이제 한 교량에서 붕괴를 멈추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구청직원 세금도둑질 사건이 꼬리를 물고 터져 나올때 재수없어 걸렸지
잘못된 게 어디 그곳 뿐이냐는 의구가 소리없이 퍼졌었었다.
바닥에 구멍뚫린 한강다리를 건널때마다 요행을 믿지 않으면 안심하고
살기 어려운 세상이라는 불안을 되씹지 않아본 사람이 드물 것이다.
그것이 우리사회 민심의 한 단면이라는 생각을 떨쳐버릴수 없다.
21일 아침 출근길에 벌어진 한강 성수대교붕괴 현장화면을 생생하게
지켜보면서 국민들이 느낀 것은 무엇일가.
한마디로 불신이다. 잘잘못을 다지고 어쩌고할 경황이 없다.
왜냐면 한강다리의 안전도에 대한 의심은 수년동안 일반화 되다시피했고
따라서 붕괴사고의 개연성은 충분히 높았는데,기어코 수십명 귀한 생명이
희생되기까지 정부의 감투들이 한일이 무엇이냐고 원망이 서릿발 같은
것은 오히려 당연하다.
사람이 하는일에 신과같은 완벽이란 있을수 없음을 모르지 않는다.
그래서 몇명 몇십명씩이 몰사당하는 끔찍한 각종 안정사고들이 륙에서
해에서 공에서 끊임없이 터져도 꼬집어 누구를 원망하기를 삼갔다.
서로의 조심을 빌어왔을 뿐이다. 그러나 이번 참사는 성격이 전혀
다르다.
여러차례의 위험경고가 있었고 그래서 성의만 있었다면 사고예방도
충분히 가능했다.
가까이부터 소급하며 짚어보자. 우선 사고나기 바로 전날의 다리수리가
있었다는 단서의 노출이다.
들리는 바로는 공개적으로 통행을 제한하면서 수리를 할 경우 교통에
미칠 혼란을 고려하여 조용히 수리를 했다는 심증이 짙다.
물론 현실상 그날그날의 원활한 교통소통을 무시할수 없는 당국으로서
교량의 정비나 수리시에 사고예방의 재량권을 남용하는 것도 잘못일수
있다.
따라서 이럴때 중요한 것은 현장의 기술적 판단 존중이다.
현장에서 볼때 위험도가 분명 높은 상황임에도 상사가 당장의 시민불만
이나 위의 질책을 고려에 넣어 수리를 대강의 땜질로 넘어가도록 강요
한다면 구멍은 거기 바로 뚫리게 마련이다.
그럴리야 없겠지만 가령 정도600년의 행사기간이 고려돼 필요한 수리를
연기하는등의 오류가 혹시라도 시당국에 의해 저질러졌다면 그야말로
본만전도, 소탐대실이라 아니할수 없다.
다음은 지난해 있었던 한강교량 일제진단에서 문제의 성수대교에는
안전문제가 지적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그뒤 불과 몇달 사이에 무리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마포 양화 원효교등
본격수리에 들어간 문제의 불안전 교량에서 성수교가 그 당시 제외된
것은 어찌된 영문인가.
여기서도 과학적 진단보다 교령이 짧다는 등의 비전문적 행정편의적
배려가 개입된 것은 아닌지 묻지 않을수없다.
첫째 건설을 맡아한 동아건설측의 해명과 관련된 의문이다.
말인즉 성수교는 설계상 최대감내 하중이 18t인데 그것이 준공후 시에
의해 24t까지로 상향됨으로서 15년동안 교량의 피로가 쌓였다는 분석이다.
이 얼마나 무모한 짓인가.
하중을 무시하여 초중량 차량의 교량통과를 허용한 시당국의 작태야말로
아직도 끄덕하지 않고 버티는 일부 한국관료사회의 반시대적 권위주의의
한 단면이라 아니할수없다.
또 축조물의 내용을 누구보다 잘 알며 스스로 일군 작품에 대해 도의상
이나 프로의식으로 영구히 책임을 느끼고 관심을 가져야할 건설회사가
공사대금 받았으니 나몰라라고 시의 무리를 구경만했다면 그게 말이나
되는 일인가. 더구나 인근주민의 말로는 24t이 문제가 아니다.
50t짜리 초대형 차량의 잦은 통과를 목격했다고 하니 이것이 어느나라
에서 통하는 얘기인가.
우리가 어제 아침 한 교량의 붕괴사건을 더할수없이 중대하게 여김은
바로 그것이 한국사회 도덕수준의 반영이라는 점 때문이다.
만일 시민의 증언대로 50t크레인의 잦은 통과가 사실이라면 그것이
허용되는 풍토로는 이 사회가 도저히 지탱해 나갈수없다는 심각한
우려를 아무도 배제할수 없다.
그런 불법통행이 자주 시민의 눈에 띄었었다면 전문기관이나 관계
당국자가 몰랐을리가 만무하다.
언필칭 고하의 당로자들이 그 사실을 알고 눈감았다고 할진대 이 사회,
이 나라가 과연 제방향으로 굴러갈수 있을것인가.
천만에 말씀이다.
왜냐하먼 그런 일이 성수교에만 예외적으로 있을리없고 교량에만 문제
될리가 없기 때문이다.
그 한가지 사실은 다름아니라 사회 구석구석에 그런 묵인이 횡행하고
불의와의 타협이 잠행하고 있다는 웅변인 셈이다.
능력이 달리고 경험이 얕아서 발전이 더딘 개인이나 사회라면 거기엔
희망이 있다.
그러나 알면서 남들이 다 그러는데 나라고 별수있나 하며 하나하나
썩어가는 사회는 볼장 다 본 사회다. 그런 곳에선 경제발전을 해도
알맹이가 배지않는다.
국회가 달려들면 대통령이 최대관심을 표명했다. 그러나 또 일벌백계
한다고 서두르면 재수없고 연줄없는 자만 목날아 간다.
몇달 지나면 언제 그랬더냐고 또들 해먹기 바빠지니 문제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10월 22일자).
잘못된 게 어디 그곳 뿐이냐는 의구가 소리없이 퍼졌었었다.
바닥에 구멍뚫린 한강다리를 건널때마다 요행을 믿지 않으면 안심하고
살기 어려운 세상이라는 불안을 되씹지 않아본 사람이 드물 것이다.
그것이 우리사회 민심의 한 단면이라는 생각을 떨쳐버릴수 없다.
21일 아침 출근길에 벌어진 한강 성수대교붕괴 현장화면을 생생하게
지켜보면서 국민들이 느낀 것은 무엇일가.
한마디로 불신이다. 잘잘못을 다지고 어쩌고할 경황이 없다.
왜냐면 한강다리의 안전도에 대한 의심은 수년동안 일반화 되다시피했고
따라서 붕괴사고의 개연성은 충분히 높았는데,기어코 수십명 귀한 생명이
희생되기까지 정부의 감투들이 한일이 무엇이냐고 원망이 서릿발 같은
것은 오히려 당연하다.
사람이 하는일에 신과같은 완벽이란 있을수 없음을 모르지 않는다.
그래서 몇명 몇십명씩이 몰사당하는 끔찍한 각종 안정사고들이 륙에서
해에서 공에서 끊임없이 터져도 꼬집어 누구를 원망하기를 삼갔다.
서로의 조심을 빌어왔을 뿐이다. 그러나 이번 참사는 성격이 전혀
다르다.
여러차례의 위험경고가 있었고 그래서 성의만 있었다면 사고예방도
충분히 가능했다.
가까이부터 소급하며 짚어보자. 우선 사고나기 바로 전날의 다리수리가
있었다는 단서의 노출이다.
들리는 바로는 공개적으로 통행을 제한하면서 수리를 할 경우 교통에
미칠 혼란을 고려하여 조용히 수리를 했다는 심증이 짙다.
물론 현실상 그날그날의 원활한 교통소통을 무시할수 없는 당국으로서
교량의 정비나 수리시에 사고예방의 재량권을 남용하는 것도 잘못일수
있다.
따라서 이럴때 중요한 것은 현장의 기술적 판단 존중이다.
현장에서 볼때 위험도가 분명 높은 상황임에도 상사가 당장의 시민불만
이나 위의 질책을 고려에 넣어 수리를 대강의 땜질로 넘어가도록 강요
한다면 구멍은 거기 바로 뚫리게 마련이다.
그럴리야 없겠지만 가령 정도600년의 행사기간이 고려돼 필요한 수리를
연기하는등의 오류가 혹시라도 시당국에 의해 저질러졌다면 그야말로
본만전도, 소탐대실이라 아니할수 없다.
다음은 지난해 있었던 한강교량 일제진단에서 문제의 성수대교에는
안전문제가 지적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그뒤 불과 몇달 사이에 무리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마포 양화 원효교등
본격수리에 들어간 문제의 불안전 교량에서 성수교가 그 당시 제외된
것은 어찌된 영문인가.
여기서도 과학적 진단보다 교령이 짧다는 등의 비전문적 행정편의적
배려가 개입된 것은 아닌지 묻지 않을수없다.
첫째 건설을 맡아한 동아건설측의 해명과 관련된 의문이다.
말인즉 성수교는 설계상 최대감내 하중이 18t인데 그것이 준공후 시에
의해 24t까지로 상향됨으로서 15년동안 교량의 피로가 쌓였다는 분석이다.
이 얼마나 무모한 짓인가.
하중을 무시하여 초중량 차량의 교량통과를 허용한 시당국의 작태야말로
아직도 끄덕하지 않고 버티는 일부 한국관료사회의 반시대적 권위주의의
한 단면이라 아니할수없다.
또 축조물의 내용을 누구보다 잘 알며 스스로 일군 작품에 대해 도의상
이나 프로의식으로 영구히 책임을 느끼고 관심을 가져야할 건설회사가
공사대금 받았으니 나몰라라고 시의 무리를 구경만했다면 그게 말이나
되는 일인가. 더구나 인근주민의 말로는 24t이 문제가 아니다.
50t짜리 초대형 차량의 잦은 통과를 목격했다고 하니 이것이 어느나라
에서 통하는 얘기인가.
우리가 어제 아침 한 교량의 붕괴사건을 더할수없이 중대하게 여김은
바로 그것이 한국사회 도덕수준의 반영이라는 점 때문이다.
만일 시민의 증언대로 50t크레인의 잦은 통과가 사실이라면 그것이
허용되는 풍토로는 이 사회가 도저히 지탱해 나갈수없다는 심각한
우려를 아무도 배제할수 없다.
그런 불법통행이 자주 시민의 눈에 띄었었다면 전문기관이나 관계
당국자가 몰랐을리가 만무하다.
언필칭 고하의 당로자들이 그 사실을 알고 눈감았다고 할진대 이 사회,
이 나라가 과연 제방향으로 굴러갈수 있을것인가.
천만에 말씀이다.
왜냐하먼 그런 일이 성수교에만 예외적으로 있을리없고 교량에만 문제
될리가 없기 때문이다.
그 한가지 사실은 다름아니라 사회 구석구석에 그런 묵인이 횡행하고
불의와의 타협이 잠행하고 있다는 웅변인 셈이다.
능력이 달리고 경험이 얕아서 발전이 더딘 개인이나 사회라면 거기엔
희망이 있다.
그러나 알면서 남들이 다 그러는데 나라고 별수있나 하며 하나하나
썩어가는 사회는 볼장 다 본 사회다. 그런 곳에선 경제발전을 해도
알맹이가 배지않는다.
국회가 달려들면 대통령이 최대관심을 표명했다. 그러나 또 일벌백계
한다고 서두르면 재수없고 연줄없는 자만 목날아 간다.
몇달 지나면 언제 그랬더냐고 또들 해먹기 바빠지니 문제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10월 2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