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 돈 벌기가 이렇게 힘든가…' 월급으로 먹고사는 작가들 이야기
지난해 소설가 장강명(사진)은 동료 작가 10명과 ‘월급사실주의’라는 문학 동인을 꾸렸다. 문학 자체가 힘을 잃은 것이 아니라 힘 있는 문학이 줄어든 것이 아닌가란 의문을 품으면서다. 월급사실주의는 시대의 풍경을 적확하게 담아내는 작품이 늘어나야 문학의 가치가 커진다는 믿음에서 시작됐다.

동인들은 ‘월급’ 그러니까 먹고사는 이야기에서 실마리를 풀어보자고 했다. 이들의 창작 규칙은 세 가지다. 첫째, 한국 사회의 먹고사는 문제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는다. 둘째, 수십 년 전이나 먼 미래가 아니라 우리 시대의 현장을 다룬다. 셋째, 판타지를 쓰지 않고 발품을 팔아 사실적으로 쓴다.

'남의 돈 벌기가 이렇게 힘든가…' 월급으로 먹고사는 작가들 이야기
장 작가와 뜻을 함께한 작가는 김의경 서유미 염기원 이서수 임성순 정진영 주원규 지영 최영 황여정 등이다. 모두 월급쟁이의 삶을 살아 본 작가들이다. 이들이 우리 시대의 밥벌이를 다룬 소설을 엮어 첫 동인지 소설집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를 최근 출간했다.

‘월급사실주의자’들은 저마다 단편소설 하나씩을 실었다. 비정규직 근무, 자영업자, 플랫폼 노동, 프리랜서는 물론 가사, 구직, 학습 등 ‘지금, 여기’의 노동 현장이 담겨 있다. 소설 속 인물들은 오늘 아침 출근길 지하철에서 내 어깨를 스쳐 간 사람처럼 익숙하고도 생생하다. 그럼에도 어떤 문장들은 단순한 현실 재연 그 이상을 보여준다.

김 작가의 ‘순간접착제’에서 주인공 ‘나’는 친구 예은과 대학을 휴학하고 돈을 벌기 위해 삼각김밥 공장에서 일한다. 이들이 마카롱 카페 일자리를 잃고 공장으로 향하게 된 건 코로나로 카페 매출이 쪼그라든 사장이 아르바이트 시간을 줄였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우리는 순간접착제 같은 거네요? 카페가 망하지 않게 최소한만 일을 시켜서 임시로 지탱하는 거잖아요.” 돈을 아끼려 다 떨어진 운동화 밑창을 순간접착제로 붙이며 버티던 예은은 사장에게 이렇게 말한다. 악의를 가진 자는 아무도 없지만 각자의 자리가 서로의 밥벌이를 위협하는 순간들을 소설은 포착해낸다.

장 작가는 “이 기획이 잘되면 동인 작가를 충원해가며 ‘월급사실주의 2024’ ‘월급사실주의 2025’ 하는 식으로 작업을 이어 나가고 싶다”며 “한국 소설가들이 동시대 현실에 문제의식을 갖고 쓴 소설이 그렇게 쌓이면 멋지겠다”고 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