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애들 사회성 진짜 낮을까…"사회성 점수는 Z > M > X세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코로나19 시대 MZ세대의 사회성 연구
학교밖청소년 사회성 낮아…"교류공간·활동 제공해야" '사회성이 낮아 조직생활을 못 한다'는 평가를 받는 MZ세대의 사회성 점수가 오히려 X세대보다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만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 낮은 사회성을 보여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19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코로나19 시대 MZ세대의 사회성 발달 연구'(연구책임자 최정원 연구위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6∼7월 국민 5천271명에게 온라인으로 생활태도, 행동양식 등 사회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질문을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연구 대상은 ▲ 13∼18세(후기 Z세대·2004∼2009년생) 중고생 1천471명 ▲ 13∼18세 학교 밖 청소년 400명 ▲ 대부분 대학생인 전기 Z세대(1996년∼2003년생) 800명 ▲ 대부분 사회 초년생인 후기 M세대(1989년∼1995년생) 800명 ▲ 전기 M세대(1983년∼1988년생) 500명 ▲ X세대(1965년∼1982년생) 1천300명이다.
연구팀은 대상자들에게 '나는 쉽게 친구를 사귄다', '나는 친구 혹은 직장동료에게 먼저 말을 건다', '나는 문제나 논쟁거리가 있을 때 친구 혹은 직장동료들과 대화로 푼다', '나는 학교나 직장에서 정한 일은 내가 싫더라도 지킨다' 등의 문장들에 대해 실천 빈도와 중요도를 물었다.
연구팀은 답변 내용을 토대로 사회성 유형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했다.
평균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면서 전반적인 사회성 점수가 평균보다 높은 '일반패턴의 높은 사회성' 유형, 평균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지만 전반적인 점수는 평균보다 낮은 '일반패턴의 낮은 사회성' 유형, 평균과 다른 패턴을 보이는 '비일반패턴의 불안정한 사회적 행동' 유형이다.
가장 긍정적인 유형인 '일반패턴의 높은 사회성' 비율은 Z세대 학생 청소년에서 52%로 가장 많았고, 후기 Z세대인 대학생(49%), 전기 M세대(42%), 후기 M세대(20%) 순으로 나타났다.
이 유형에서 X세대의 비율은 19%에 그쳤으며, 학교 밖 청소년은 7%에 불과했다.
학교 밖 청소년 집단과 X세대의 경우 '비일반패턴의 불안정한 사회적 행동' 유형이 각각 51%와 42%로 가장 많았으며, '일반패턴의 낮은 사회성' 유형이 43%와 39%로 그 뒤를 이었다.
'일반패턴의 높은 사회성' 비율은 각각 7%와 19%로 세대·집단 중 최하위권이었다.
다만 X세대는 본인의 사회성 발달 수준 평가에서 Z세대와 함께 가장 높은 점수를 매겼다.
학교 밖 청소년은 본인 평가에서도 가장 낮은 점수를 줬다. 사회성 발달과 온라인 활동 간의 정적 상관관계는 X세대에서만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활동의 일상성, 즐거움, 공동체 의식 등이 결코 디지털 네이티브로 태어난 MZ세대만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오프라인에서 다른 사람과 의견과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수준의 느슨한 연결을 의미하는 '교류자본'과 사회성 발달 간의 정적 상관관계는 학교 밖 청소년 집단을 중심으로 발견됐다.
이에 학교 밖 청소년이 지역사회에서 고립되지 않고 또래나 청소년 지도자와 건강한 교류자본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공간과 활동을 제공해야 한다고 연구팀은 제언했다.
/연합뉴스
학교밖청소년 사회성 낮아…"교류공간·활동 제공해야" '사회성이 낮아 조직생활을 못 한다'는 평가를 받는 MZ세대의 사회성 점수가 오히려 X세대보다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만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 낮은 사회성을 보여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19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코로나19 시대 MZ세대의 사회성 발달 연구'(연구책임자 최정원 연구위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6∼7월 국민 5천271명에게 온라인으로 생활태도, 행동양식 등 사회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질문을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연구 대상은 ▲ 13∼18세(후기 Z세대·2004∼2009년생) 중고생 1천471명 ▲ 13∼18세 학교 밖 청소년 400명 ▲ 대부분 대학생인 전기 Z세대(1996년∼2003년생) 800명 ▲ 대부분 사회 초년생인 후기 M세대(1989년∼1995년생) 800명 ▲ 전기 M세대(1983년∼1988년생) 500명 ▲ X세대(1965년∼1982년생) 1천300명이다.
연구팀은 대상자들에게 '나는 쉽게 친구를 사귄다', '나는 친구 혹은 직장동료에게 먼저 말을 건다', '나는 문제나 논쟁거리가 있을 때 친구 혹은 직장동료들과 대화로 푼다', '나는 학교나 직장에서 정한 일은 내가 싫더라도 지킨다' 등의 문장들에 대해 실천 빈도와 중요도를 물었다.
연구팀은 답변 내용을 토대로 사회성 유형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했다.
평균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면서 전반적인 사회성 점수가 평균보다 높은 '일반패턴의 높은 사회성' 유형, 평균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지만 전반적인 점수는 평균보다 낮은 '일반패턴의 낮은 사회성' 유형, 평균과 다른 패턴을 보이는 '비일반패턴의 불안정한 사회적 행동' 유형이다.
가장 긍정적인 유형인 '일반패턴의 높은 사회성' 비율은 Z세대 학생 청소년에서 52%로 가장 많았고, 후기 Z세대인 대학생(49%), 전기 M세대(42%), 후기 M세대(20%) 순으로 나타났다.
이 유형에서 X세대의 비율은 19%에 그쳤으며, 학교 밖 청소년은 7%에 불과했다.
학교 밖 청소년 집단과 X세대의 경우 '비일반패턴의 불안정한 사회적 행동' 유형이 각각 51%와 42%로 가장 많았으며, '일반패턴의 낮은 사회성' 유형이 43%와 39%로 그 뒤를 이었다.
'일반패턴의 높은 사회성' 비율은 각각 7%와 19%로 세대·집단 중 최하위권이었다.
다만 X세대는 본인의 사회성 발달 수준 평가에서 Z세대와 함께 가장 높은 점수를 매겼다.
학교 밖 청소년은 본인 평가에서도 가장 낮은 점수를 줬다. 사회성 발달과 온라인 활동 간의 정적 상관관계는 X세대에서만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활동의 일상성, 즐거움, 공동체 의식 등이 결코 디지털 네이티브로 태어난 MZ세대만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오프라인에서 다른 사람과 의견과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수준의 느슨한 연결을 의미하는 '교류자본'과 사회성 발달 간의 정적 상관관계는 학교 밖 청소년 집단을 중심으로 발견됐다.
이에 학교 밖 청소년이 지역사회에서 고립되지 않고 또래나 청소년 지도자와 건강한 교류자본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공간과 활동을 제공해야 한다고 연구팀은 제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