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도 감염병을 꼽았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의 '보건환경 인식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ADVERTISEMENT
이번 조사는 지난달 1일부터 30일까지 한달간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서울시민 1천명과 보건환경 분야 전문가 321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 감염병, 미세먼지, 기후변화, 유해화학물질 등 7가지 보건환경 위험 요인 중 감염병이 4.21점(5점 만점)으로 시민들이 가장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DVERTISEMENT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으로도 감염병(4.51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건강상의 피해를 본 경험은 미세먼지(59.0%)가 가장 많았고 소음, 빛 공해, 악취 등 도시 생활문제(45.3%), 감염병(42.5%)이 뒤를 이었다.
ADVERTISEMENT

식품 관련 위험 요인의 위험 정도에 대한 질문에는 중금속(4.11점), 방사능 물질(4.08점), 대장균·식중독(3.99점) 순으로 답했다.
식품 위험 요인으로 인해 피해를 본 경험이 있냐는 질문에는 대장균·식중독균(45.5%)이 가장 많았고 첨가물(14.5%), 미세플라스틱(12.3%)이 뒤를 이었다.
ADVERTISEMENT
평소 보건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도는 3.90점으로 전반적으로 '관심이 있는 편'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고, 보건환경 측면에 있어서 삶의 만족도는 3.15점으로 보통 수준이었다.
이번 조사는 코로나19와 미세먼지 등 시민의 삶을 동시다발적으로 위협하는 보건환경과 환경 위험 요인에 대한 통합적인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반영한 시 정책 연구를 추진하기 위해 처음으로 진행됐다.
신용승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최근 코로나19와 미세먼지, 미세플라스틱까지 그 어느 때 보다 보건환경에 대한 시민의 관심과 요구가 높다"며 "이번 조사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연구과 소통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