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조사…"건강상 피해 경험은 미세먼지"
서울시민은 감염병이 미세먼지보다 더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도 감염병을 꼽았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의 '보건환경 인식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ADVERTISEMENT


이번 조사는 지난달 1일부터 30일까지 한달간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서울시민 1천명과 보건환경 분야 전문가 321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 감염병, 미세먼지, 기후변화, 유해화학물질 등 7가지 보건환경 위험 요인 중 감염병이 4.21점(5점 만점)으로 시민들이 가장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DVERTISEMENT


미세먼지는 4.02점, 기후변화는 3.98점으로 상대적으로 위험하다고 느끼는 정도가 덜했다.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으로도 감염병(4.51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건강상의 피해를 본 경험은 미세먼지(59.0%)가 가장 많았고 소음, 빛 공해, 악취 등 도시 생활문제(45.3%), 감염병(42.5%)이 뒤를 이었다.

ADVERTISEMENT


환경 위험 요인 중에서는 미세먼지(4.13점)를 가장 위험하다고 응답했고 이어 기후변화(4.05점), 미세플라스틱(3.95점), 방사선 물질(3.95점) 순이었다.

식품 관련 위험 요인의 위험 정도에 대한 질문에는 중금속(4.11점), 방사능 물질(4.08점), 대장균·식중독(3.99점) 순으로 답했다.

식품 위험 요인으로 인해 피해를 본 경험이 있냐는 질문에는 대장균·식중독균(45.5%)이 가장 많았고 첨가물(14.5%), 미세플라스틱(12.3%)이 뒤를 이었다.

ADVERTISEMENT


평소 보건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도는 3.90점으로 전반적으로 '관심이 있는 편'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고, 보건환경 측면에 있어서 삶의 만족도는 3.15점으로 보통 수준이었다.

이번 조사는 코로나19와 미세먼지 등 시민의 삶을 동시다발적으로 위협하는 보건환경과 환경 위험 요인에 대한 통합적인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반영한 시 정책 연구를 추진하기 위해 처음으로 진행됐다.

신용승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최근 코로나19와 미세먼지, 미세플라스틱까지 그 어느 때 보다 보건환경에 대한 시민의 관심과 요구가 높다"며 "이번 조사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연구과 소통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