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현안 협의와 미국 대선 이후 동향 파악을 위해 미국을 방문하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8일 오전 인천공항에서 출국장으로 향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미 현안 협의와 미국 대선 이후 동향 파악을 위해 미국을 방문하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8일 오전 인천공항에서 출국장으로 향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대북정책을 '전략적 인내'로 회귀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강경화 장관은 8일(현지시간) 나흘 일정으로 미국을 방문해 워싱턴DC에 있는 6·25전쟁 참전 기념공원을 찾아 헌화 행사를 한 뒤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오바마 행정부 부통령이었던 바이든 당선인이 정부를 이끌면 대북정책이 회귀하는 것 아니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강경화 장관은 "바이든 쪽 여러 인사가 공개적으로 하는 얘기를 들어보면 그때의 전략적 인내로 돌아간다는 것은 아닐 것 같다"고 답했다. 이어 "지난 3년간 여러 경과나 성과를 바탕으로 만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하더라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진전을 보인 북미 관계의 연속성이 어느 정도 이뤄지리라는 관측으로, 그 과정에서 한국 정부가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로도 풀이된다.

강경화 장관은 그러면서도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 이렇다 저렇다 예측하기는 아직 상황이 이른 것 같다"고 말을 아꼈다.

폼페이오 장관 초청으로 방미한 강경화 장관은 한미외교장관 회담을 통해 한미동맹을 재확인하고 한반도 현안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다. 미 의회와 학계 인사들과도 접촉해 지속적인 협력을 당부할 계획이다.

특히 바이든 캠프의 외교·안보 참모들을 만나 차기 미 행정부와의 협력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이미경 한경닷컴 기자 capit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