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이유 있는 변덕
집안의 가구 배치를 때때로 달리하는 것이 아내의 소일거리로 보인 적이 있다. 계절이 바뀌거나 기분 전환이 필요할 때, 친구와의 대화와 인터넷, 잡지 등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견했을 때 아내는 집안 가구와 소품의 위치를 바꾸거나 작은 공사를 한다. 내가 변덕스럽다고 타박하면 아내는 좀 더 나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몰라준다며 서운해하곤 했다. 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아내의 그런 변덕이 가족을 위한 편리함 때문이라는 것을 이해하게 됐다.

조직이나 회사에서도 비슷한 경우가 많다.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제도 등을 변경할 때 최상의 결과를 얻기 위해 다양한 의견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결정을 번복하기도 한다. 자세한 배경을 모르는 동료나 부하 직원들의 눈에는 변덕쟁이로 비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애플의 최고경영자(CEO)인 팀 쿡은 한 인터뷰에서 스티브 잡스를 ‘세계 최고의 변덕쟁이’라고 회고했다. 좋은 아이디어가 생기면 전날 결정된 사안도 하루 만에 번복하며 매일 변화를 시도하는 그의 변덕이 애플을 이끌어 왔다고 말한다. 회사가 추구하는 가치만이 변하지 않았다. 다만 가치를 추구하는 방식은 매일 변화를 거듭했다. 혁신이라는 지향점이 분명했고 앞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시도를 한 것이다. 잡스가 변덕스러운 사람이 아니었다면 혹은 새로운 생각과 실험에 대한 개방적이고 유연한 문화가 없었다면 애플 같은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기업은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다.

우리 회사에서 몇 년 전 중요한 프로젝트를 진행한 적이 있다. 수개월간 준비한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하기 불과 며칠 전, 기존 안과 전혀 다른 방식의 새로운 아이디어가 제기됐다. 경영진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택하는 과감한 결단을 내렸다. 결과적으로 마지막 순간의 변덕이 프로젝트 성공으로 이어졌다.

변덕이 심한 사람을 우리는 귀가 얇고 줏대 없는 사람, 사안에 대한 깊은 이해와 준비가 부족한 사람으로 치부하기 쉽다. 그러나 이유 있는 변덕이라면 꼭 부정적으로만 바라볼 필요는 없다. 지향하는 가치가 확실하다면 그 가치를 추구하는 방식에서 변덕 혹은 생각의 전환은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본다. 기존의 방법만 고수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한다. 이것이 모여 결국 가치 있는 변화를 만든다.

또 변덕은 ‘용기’를 필요로 한다. 새로운 시도를 위해 “내 생각이 틀렸다. 지금 생각해 보니 반대 의견도 일리가 있다”라고 인정하는 것은 대단한 용기를 필요로 한다. 용기 있게 자신의 생각을 바꾸고 주변의 비난을 이겨내며 새로운 시도를 펼쳐 가치 있는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변덕스러운 사람을 응원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