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직화된 사업구조 탈피 의지
28일 외신 및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이달 초 AGL 프로젝트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프로젝트는 국내외 140여 개 업체가 참가하고 있는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사업이다. 도요타와 혼다, 메르세데스벤츠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뿐만 아니라 덴소와 퀄컴, 삼성전자 등 자동차 부품 및 전장업체들도 함께 머리를 맞대고 있다. 이들은 표준화된 오픈 플랫폼을 이용해 자동차 인포테인먼트는 물론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과 자율주행기술 등 미래차에 들어가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나의 플랫폼으로 여러 업체들이 개발에 참여하면 비용 절감과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현대차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운영체제(OS)를 개발해 차량에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는 최근 수직 계열화된 사업구조를 벗어나 글로벌 합종연횡 대열에 적극적으로 합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 미국 실리콘밸리와 한국에 이어 이스라엘 텔아비브에 세 번째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를 열고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투자를 확대했다. 현대차그룹은 같은 해 6월 독일 아우디폭스바겐그룹과 수소전기자동차(FCEV) 관련 기술 제휴 협약을 맺기도 했다.
ADVERTISEMENT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