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2% "민간보다 역량 우수"…입법부 행정직 48.1% "의사결정서 배제돼"

1일 한국행정연구원이 작년 8∼9월 46개 중앙행정기관과 17개 지방자치단체 소속 일반직 공무원 3천1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7년 공직생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평소 업무량이 '매우 많은 수준(13.8%)'이거나 '많은 수준(45.7%)'이라고 답한 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59.5%였다.
반면 업무가 '매우 적은 수준(0.2%)'이라거나 '적은 수준(1.6%)'이라는 답은 1.8% 그쳤다.
ADVERTISEMENT
나머지 38.7%는 자신의 업무량이 '적정한 수준'이라고 답했다.
평소 업무량이 많은 이유로 52.1%가 '소속 부서의 인력부족'을 들었다.
ADVERTISEMENT
이어 '과도한 업무할당'(25.6%), '타부서·기관과 업무협의 과다'(11.1%), '자신의 역량부족(업무숙련도)'(5.1%), '비합리적인 업무 마감기한'(3.1%)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조직 내 '승진 공정성'을 묻는 말에는 부정적인 견해를 보인 공무원이 30.3%로, 긍정적인 답(23.5%)보다 많았다.
'보수의 적정성'에 관한 질의에도 부정적인 답(29.6%)이 긍정적인 답(21.4%)을 웃돌았다.
ADVERTISEMENT
승진의 공정성에 긍정적인 답을 내놓은 공무원 비율은 2015년 36.2%로 정점을 찍은 뒤 2016년 27.1%. 2017년 21.4%로 2년 연속 하락했다.

'매우 그렇다'·'그렇다'라고 답한 응답자(20.1%)보다 19.7%포인트 많았다.
민간 기업 직원과 비교한 업무역량 정도를 묻는 말에는 38.2%가 민간 기업보다 역량이 우수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ADVERTISEMENT
이에 반대되는 응답은 9.4%에 그쳤다.
본인의 업무 전문성이 높다고 답한 공무원은 2016년 39.2%에서 2017년 45.4%로 6.2%포인트 상승했다.
공무원의 업무 전문성 저해요인으로는 '순환보직으로 인한 잦은 인사이동'을 꼽은 응답자가 46%였다.
공직 전문성 강화 방안으로는 '다양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기회 확대'가 67.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년 대비 공무원 부정부패 정도를 묻는 질의에는 83.3%가 '매우 덜하다'·'덜한 편이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부정부패가 '매우 심하다'·'심한 편이다'라고 답한 공무원은 0.9%에 불과했다.
실태조사를 담당한 정소윤 한국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결과보고서에서 "직무 분석을 통해 절대적인 업무량 감소와 더불어 효율적으로 업무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공무원 교육훈련 기회 확대, 적재적소·공정한 인사를 위한 인식 개선, 여성 고위직 승진에 대한 공무원 내 인식차 감소 노력 등을 개선안으로 제시했다.

한국의정연구회가 작년 9월부터 한 달간 국회사무처 등 국회 소속기관 행정직 공무원 50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직원들을 고려한 의사결정'이 이뤄지는지를 묻는 말에 응답자의 48.1%는 '전혀 그렇지 않다'거나 '그렇지 않다'라며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반면 '매우 그렇다'·'그렇다'라는 의견은 11.0%에 불과했다.
긍정도 부정도 아닌 '보통이다'라는 답은 40.9%였다.
'승진 요인'과 관련해서는 '상관·동료·부하의 평판'이라고 꼽은 경우가 62.6%로 가장 많았다.
'업무수행 실적'(49.0%), '업무수행 태도'(39.4%) 등 업무역량과 관련된 요인은 이보다 낮았다.
'상관에 대한 충성도'라는 답도 30.9%를 나타냈다.
ADVERTISEMENT
두 조사 결과는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의원이 주최하고 한국행정연구원이 주관하는 '신뢰받는 공직사회' 세미나에서 발표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