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난해 말 ‘2017년 경제정책방향’을 내놓으면서 노인 기준을 재정립하겠다고 발표했다. 현재 노인 기준 연령은 만 65세다.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짠 1964년에 도입해 52년째 유지하고 있다. 정부는 연구용역, 공청회 등을 거쳐 하반기에 합의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정부가 노인 기준 연령 조정에 나서는 것은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현재 생산가능인구를 15∼64세로 보지만 실제로는 더 늦게까지 일한다”며 “현행 노인 연령 기준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 노동시장 실제 은퇴 연령은 2014년 기준으로 남자는 72.9세, 여성은 70.6세로 계속 높아지는 추세다. 조장옥 전 한국경제학회장(서강대 경제학부 교수)은 “생산가능인구 상한선을 높이면 정년을 추가로 연장하는 쪽으로 제도를 함께 개편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인 연령 기준을 높이고 생산가능인구가 늘어나면 정부 재정도 넉넉해진다. 세금을 낼 인구가 늘어나 정부 재원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ADVERTISEMENT
대한노인회도 노인 기준 연령을 70세로 올리는 문제를 공론화해 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2015년 보건사회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적정한 노인 연령’을 질문한 결과 78.3%가 ‘70세 이상’이라고 답했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