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싱글석만 찾는 마니아 생겨…편리함 이유
복합상영관 메가박스 코엑스점에선 조금 특별한 좌석을 볼 수 있다. 열 전체가 다른 좌석과 분리된 싱글석이다.
싱글석은 2013년 처음 생겼다. 늘어나는 나홀로 관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현재는 전체 16개관 가운데 6개관(6~11관) 5열을 모두 싱글석으로 운영 중이다.
ADVERTISEMENT
반응은 좋다. 권상봉 메가박스 마케팅팀장은 "일부러 싱글석을 예약하는 마니아가 있을 정도"라고 밝혔다.
◆ 친구 없어 혼자 보는게 아냐
ADVERTISEMENT
관객들이 혼자 영화관을 찾는 이유는 싱글석이 생긴 이유와 다르지 않다. 누구에게도 방해 받지 않고 영화를 보기 위해서다.
경기 부천에 거주하는 황은정(29·가명)씨는 "혼자 보면 영화에 더 집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올해 결혼한 황씨는 퇴근길 종종 혼자 영화를 본다.
그녀는 "혼자 영화를 보게 된 다음부터 혼자 밥을 먹거나 혼자 여행을 가는 것도 가능해졌다"며 "누군가에게 의지하지 않고 나 홀로 무언가를 해냈다는 성취감도 든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나홀로족이 젊은 세대에 쏠리는 현상을 사회성과 연관짓는다.
그는 "온라인 만남은 증가하지만 오프라인에서는 나홀로족이 늘고 있다"며 "모임과 만남을 불편하게 여기는 스마트 시대의 한 단면으로 볼 수 있다"고 해석했다.
◆ 혼자가 더 편한 개인주의 시대
ADVERTISEMENT
젊은 세대만 나홀로 관람을 즐기는 건 아니다. 중장년층에서도 편리함을 이유로 혼자 영화관을 찾는 관객이 증가하고 있다.
이성남 씨(47·가명)는 "지인들과 어울려 보는 것도 좋지만 혼자가 편할 때가 많다"고 말했다.
가족을 해외에 보낸 '기러기 아빠' 이 씨는 한 달에 한 번 꼴로 혼자 영화를 본다. 그는 "처음엔 어색했지만 점점 익숙해져 이제 다른 사람들의 시선은 신경쓰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무현, 두 도시 이야기'를 관람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고 백무현 화백의 이야기를 다룬 이 다큐멘터리 영화는 1인 관객 비율이 33.3%에 달한다. 정치적인 소재를 다루는 영화의 성격 때문에 나홀로족의 비율이 평균의 3배에 가깝다.
박상기 씨(47·가명)는 2주에 한 번 꼴로 혼자 극장을 찾는다. 함께 볼 사람이 없는 것은 아니다. 딸과 영화를 보는 날도 적지 않다.
그는 하지만 "누군가와 함께 봐야 하는 영화도 있고 혼자 봐야 하는 영화도 있다"며 "혼자 오면 영화에 더 집중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씨는 '혼밥'과 '혼술'에도 익숙하다.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보든 전혀 개의치 않는다. 주변의 다른 나홀로족을 볼 때도 마찬가지다. 그들이 혼자 즐기는 것을 친구가 없어서라고 생각지 않는다.
ADVERTISEMENT
박주영 숭실대 벤처중소기업학과 교수는 "1인 소비는 1인 가구 증가 등 경제 구조와는 별개의 문제"라며 "혼자서는 밥을 못 먹던 시대에서 혼밥 시대가 됐듯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혼자인 게 오히려 편하다는 개인주의 시대에 접어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형진 한경닷컴 기자 withmol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