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의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전문 공개에 이어 새누리당이 지난해 대통령 선거일 이전에 대화록을 입수하고 이를 선거에 이용하려 했다는 논란이 불거지면서 정국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야권은 27일 새누리당의 '대화록 대선 전 입수' 의혹에 대해 사법당국의 수사와 국정조사를 요구하는 등 총공세에 나서고 있다.

민주당 문재인 의원은 작년 대선 전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유출 의혹과 관련, 유출 경위 및 박근혜 후보 캠프와 국정원간 결탁 가능성을 제기하며 검찰수사 또는 국정조사를 요구했다.

문 의원은 이날 트위터 글에서 "대화록이 작성된 시기는 회담 직후 일주일 이내"라며 국정원이 공개한 대화록 표지에 생산일자가 2008년 1월로 명시된 점을 들어 "국정원의 누군가가 (당시) 인수위 또는 MB(이명박)정부에 갖다주기 위해 만든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어 "더 큰 문제는 원대화록이나 부본을 사본한 것이 아니어서 내용의 동일성이 확인되지 않는다는 것"이라며 "그 대화록이 누구에 의해, 언제, 무엇을 위해 만들어졌는지, 내용의 왜곡이나 조작이 없는지 규명돼야 한다"고 말했다.

문 의원은 "가장 중요한 것은 대화록이 박근혜 후보 진영으로 흘러 들어가 선거에 악용된 경위와 그 과정에서 있었던 후보측과 국정원 간의 결탁을 규명하는 것"이라며 "결국 추가적인 수사나 국정조사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무소속 안철수 의원도 지난해 대선 당시 새누리당의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사전 입수 의혹을 국가정보원의 대선개입 의혹 사건 국정조사에서 다뤄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안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미 국정조사요구서가 국회에 제출됐지만, 새누리당의 대화록 사전 입수 의혹까지 포함해 국정조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국정원의 대화록 전문공개에 대해 "일방적으로 공개한 것"이라며 "남재준 국정원장이 국정원의 명예를 위해 대화록을 공개했다고 했는데, 국익보다 국정원의 명예가 중요하다는 것이냐. 책임을 물어 해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화록 내용 논란과 관련해 "보기에 따라 일부 문구가 오해의 소지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정상회담 이후) NLL이 전혀 훼손되지 않지 않았느냐"라며 "내용에 대한 소모적인 논쟁을 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노무현재단 측도 "10·4 남북정상회담 내용이 왜곡·날조돼 유통되고 있다"며 "박근혜 대통령은 진상을 조사하고 국가정보원 개혁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이병완 이사장은 이날 재단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이 언급하고 "정상회담의 발언을 왜곡·날조한 새누리당 정문헌·서상기 의원과 기록물 불법 공개한 남재준 국정원장은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이사장은 또 "허위사실 유포로 노 전 대통령 명예를 훼손한 부분에 대해 법적대응을 유족과 상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야권의 표적이 되고 있는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은 지난해 대선을 앞두고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사전 입수했을 것이란 의혹과 관련, "전혀 사실과 다른 왜곡보도"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의원총회 참석에 앞서 기자들에게 "내가 원세훈(전 국정원장)의 '원'자도 얘기한 사실이 없다. 나는 '추적추적'이라는 용어를 안쓴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전날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지난해 대선을 앞두고 정상회담 대화록을 입수해 읽어봤고 내용이 너무 엄청나서 손이 다 떨렸다", "원세훈(당시 국정원장)에게 대화록을 공개하라고 했는데 협조를 안 해줘 결국 공개를 못했다"는 취지의 언급을 했다는 언론 보도를 거듭 부인한 것이다.

또 김 의원의 '추적추적' 언급은 전날 회의에서 "당시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오후 3시께 부산 유세에서 그 대화록을 많은 사람들 앞에서 울부짖듯이 쭉 읽었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진 데 대한 반박이다.

한경닷컴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