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서 회장이 요즘 외국계 투자회사를 상대로 힘겨운 싸움을 벌이고 있다. 2008년 KTIC의 지주회사(KTIC홀딩스)설립 때 250억원을 투자했던 일본계 투자회사 SBI코리아홀딩스가 투자실패 등 서 회장 일가의 경영책임을 물어 적대적 인수합병(M&A)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KTIC홀딩스 지분 60%를 갖고 있는 SBI 측은 지난해 말 임시주총을 열어 서 회장의 아들인 서일우 KTIC홀딩스 대표를 해임한 데 이어 추가로 KTIC 주식을 매집,최대주주로서 경영권 확보의 유리한 고지에 올라섰다. SBI 측은 오는 3월께 정기주총에서 표대결로 적대적 M&A에 마침표를 찍을 계획이다. 이에 대해 서 회장도 SBI 측과 KTIC 임원 등을 주가조작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는 한편 우호세력을 모아 반격에 나서고 있다.
ADVERTISEMENT
하지만 3월 주총까지 시간적 여유가 없는 데다 거대 외국계 자본에 맞서는 일이 쉽지는 않다는 게 주위의 관측이다. 한때 9%대였던 서 회장의 KTIC 지분은 현재 4% 선으로 줄어든 상태다.
20년 남짓한 국내 벤처캐피털사(史)에서 첫 적대적 M&A로 기록될 KTIC 사태에 대해 업계는 국내 벤처캐피털의 원조격인 KTIC의 경영권 향배에 대한 관심과 함께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적대적 M&A결말이 자칫 국내 벤처산업에 찬물을 끼얹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업계는 2년 전 우호적 파트너로 시작한 서 회장과 SBI 측의 화해와 협상이 파국을 피할 수 있는 유일한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ADVERTISEMENT
외국계의 공격적 M&A에 대한 업계 정서를 차치하고라도,서 회장이 20여년간 쌓아온 국내외 인맥과 투자 노하우를 사장시켜서는 KTIC에도 득보다 실이 더 많을 것이란 이유에서다.
손성태 과학벤처중기부 기자 mrh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