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하하는 조치를 단행했다.

전격적으로 긴급회의를 통해 이렇게 금리를 인하한 것은 9ㆍ11테러 이후 처음이라고 한다.

미 통화당국이 서브프라임 모기지 파동에 따른 글로벌 증시의 동반 폭락과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을 그만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신속히 수습하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평가할 만하다. 미국으로선 부시 대통령의 대규모 경기부양책 발표에 이어 이번 긴급 금리인하 조치에 이르기까지 쓸 수 있는 카드는 다 동원한 셈이다.

그러나 이번 조치로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는 금융불안이 과연 어느 정도 진정될지는 아무도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미국발 충격(衝擊)에 중국이 휘청거리는 등 서브프라임 부실이 어디까지 뻗쳐 있는지에 대한 불안감이 가시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증시 역시 서브프라임 사태에 직격탄을 맞기는 마찬가지다.

미국의 경기후퇴는 더욱 확실해지는 양상이고,중국 등도 덩달아 불안해지게 되면 우리가 당초 우려했던 것보다도 대외여건이 더 악화될 수 있다.

여기에 증시불안 등으로 경제심리가 위축돼 소비 투자 등 내수가 타격을 받으면 올해 경제는 예상보다 더욱 어려워질 건 자명한 일이다.

정부가 주가안정을 적극 유도하기 위해 국민연금과 기타 연기금의 주식투자를 조기집행하고,필요한 경우 시장에 자금을 신속히 공급하겠다고 한 것은 바람직한 조치다.

문제는 서브프라임 부실 여파(餘波)가 연말까지 이어지면서 국제금융 불안이 계속될 경우다.

그럴 경우를 전제하면 금리 등 통화정책도 상황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운용할 필요가 있다는 게 우리의 판단이다.

대내외 정책금리 차이가 확대되는 것도 부담스러울 것이고,특히 물가보다는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한마디로 국내외 금융시장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경제정책의 세심한 운용이 요구되는 때다.

이런 시기에 현정권과 인수위,또 정치권이 이런저런 문제로 티격태격하며 국민들의 불안감을 도리어 키우는 것은 한심한 일이다.

정권이양기라고 자칫 경제정책 운용에 빈틈이라도 생기면 그게 더 큰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