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6년 미국과 소련은 각각 남.북한에서 군정을 시작했다.

미군은 군정기간동안 좌익세력을 막고 소련과의 협력체제가 결렬된 이후
불순군사단체와 조직의 활동을 억제하기 위해 강력한 대처방안을 모색했다.

미 군정당국은 경찰력만으로는 남한의 치안유지가 어렵다고 판단, 군사
조직의 창설에 나섰다.

미 군정청내에 국방사령부를 설치하고 그후 국방사령부내에 조선경찰예비대
를 창설하여 국내 치안의 틀을 마련했다.

이를 한국측에서는 남조선 국방경비대(경비대)라고 불렀다.

이때 설치된 국방사령부와 경비대가 훗날 우리 군의 모체가 됐다.

국방사령부는 1946년3월 국방부로 개칭됐다가 소련측에서 국방이란 용어에
대해 항의하자 다시 국내경비부로 개칭했다.

한국측에서는 이를 통위부라 불렀다.

미 군정의 종식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통위부의 행정은 국방부로
이관되고, 경비대는 국군으로 전환하여 우리 국군은 최초로 군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됐다.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남조선 과도정부의 행정이행절차"에 따라
48년9월1일 조선경비대와 조선해안경비대가 국군에 편입되었고 9월5일에는
각각 육군과 해군으로 개칭됐다.

또 국군조직법 제23조에 근거하여 49년10월1일에는 공군이 창설됐다.

군이 육.해.공군의 3군 병립체제를 갖추는 순간이었다.

이후 군은 각급 부대의 증.창설과 군 간부 교육을 통해 기틀을 마련해
갔으며 50년 한국전쟁시까지 약10만명의 병력규모로 성장했다.

그러나 건군된지 2년도 채 되지 않아 6.25라는 예견치 못한 상황을 맞았다.

한국전쟁을 계기로 군은 정규군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됐으며 전란을
치르는 가운데 급속히 성장하여 휴전성립 무렵 국군의 병력은 무려 72만명
수준까지 팽창했다.

갑작스럽게 규모가 커져버린 군은 50년대말 군정비를 통해 병력을 63만명
수준으로 감축하고 60년대 중반이후에는 60만명을 상한선으로 병력을 유지
하고 있다.

60년대 월남파병에 따른 부대증편, 이어 일어난 북한의 1.21사태,
푸에블로호 납치사건 등으로 인해 68년에는 향토예비군이 창설됐으며
병무청도 신설됐다.

70년대 주한미군의 감축과 함께 미 군사원조가 종식되면서 우리나라의
안보는 우리자체의 문제라는 인식과 함께 자주국방이 국가적 과제로 대두
됐다.

자주국방이 절실해지면서 군의 역할과 군사력운영 개념, 그리고 국방정책
방향과 군사전력목표 설정의 기초가 되는 국방목표를 72년12월29일 최초로
제정하였다.

국방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국방기구를 합리적으로 통합정리하고 군 지휘
체계를 확립하는 한편 각군의 조달기구와 병원을 통합하고 예비군 지휘체계
개선, 국방정책 연구기반 조성 등의 사업이 추진된 것도 이 시기다.

방위산업 육성에 착수, 77년에는 방위산업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을
제정하고 제1차 율곡사업을 추진, 전력증강에 박차를 가했다.

또 육군 제3군사령부를 신설하는 등 주요부대 구조를 개선하고 한.미연합군
사령부를 창설했다.

79년 박정희대통령 시해사건을 계기로 12.12 사건, 5.17 광주민주화운동
진압에 투입되면서 군은 시련을 겪어야 했다.

이후 90년까지 군은 북한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전력격차를 좁히기
위해 군사전략을 단순 방어개념에서 상대방이 전면전으로 도발해 올 경우
공세적으로 대응하는 적극적 개념으로 수정하고 제2차 율곡사업을 추진했다.

또 합리적인 자원관리를 위해 국방기획관리제도를 처음 적용하고 군상부
지휘구조를 한국형 합동군제로 개편했다.

군은 90년대에 들어서면서 통합전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군 구조개선
<>방위력 개선 <>국방정보화 <>무기체계 연구개발 <>예비역 전력 동원태세
확립 등을 추진했다.

또 70년대 1.2차 율곡사업으로 추진해온 전력증강사업을 90년대에는 방위력
개선사업으로 연계시켰다.

94년에는 지난 54년 유엔군에 넘겨주었던 평시작전통제권을 40년만에
한국군으로 환수하고 걸프전 참여와 함께 유엔평화유지활동(PKO)에도 적극
동참하는 등 세계평화 유지에 기여하게 됐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0월 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