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기획] 기아, 인도네시아 국민차사업 어떻게 돼가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아자동차가 참여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국민차사업이 국제무역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리면서 이 합작 프로젝트의 앞날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이 프로젝트는 기아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아
왔다는 점에서 국내외업계의 이목이 쏠려 있다.
유럽연합(EU)은 지난3일 세계무역기구(WTO)에 인도네시아 국민차사업을
공식 제소했다.
이에 앞서 일본 통산성도 WTO 제소를 결정했으며 미국도 WTO에 제소키로
하는 한편 자국의 통상법 301조 적용(미국업체의 상대적 불이익)을 위한
조사에 나서겠다고 발표했다.
미 일 EU 등이 그동안 구두경고로 그쳤던 반발을 이처럼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기고 나선 것은 기아의 세피아(현지명 티모르)가 지난 1일부터 현지판매에
들어가면서 국민차사업이 공식적으로 시작됐기 때문.
기아 아산만공장에서 생산된 세피아는 현지 경쟁차종의 절반값인 대당
3천5백만루피아(1만5천달러)의 가격에 판매돼 이미 3만대 이상이 계약됐을
정도다.
말그대로 폭발적인 인기다.
반면 국민차 계획이 발표된 지난2월 이후 선진국업체들의 현지조립공장
생산량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특히 이 시장을 독점해오다시피한 도요타등 일본업체들의 타격은 더욱 크다.
인도네시아정부는 앞으로 3년간 기아 현지합작사인 TPN사에만 국민차사업권
을 인정한다는 방침이어서 이들의 입지는 더욱 약해질 수밖에 없다.
자동차업계는 동남아가 21세기면 세계 자동차수요의 3분의1을 소화하는
거대시장이 될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특히 현재 연간 40만대의 수요로 매년 20%에 가까운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자동차시장은 동남아 성장의 "기관차"다.
그런 시장에서 3년간 "물을 먹는다"면 그 이후도 보장할 수 없게 되는 셈.
미 일 EU가 공동전선을 펴가며 인도국민차사업을 저지하고 나선 것은 그런
이유에서다.
문제는 인도네시아의 대응전략이다.
인도네시아정부가 혹시 있을지도 모르는 선진국의 경제보복을 무릅쓰고라도
국민차사업을 예정대로 밀고나갈 수 있을까.
인도네시아정부의 입장은 아직 확고하다.
"선진국들이 WTO에 제소하건 안하건 기아자동차가 향후 3년간 인도네시아
국민차사업에서 유일한 독점적 지위를 갖게 된다"(산요토 인도네시아
투자성장관)는 것.
기아자동차에서 이 사업을 전담하고 있는 김승안부사장도 "인도네시아
정부가 WTO제소에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정부가 믿고 있는 것은 인도네시아가 WTO체제하에서 "최빈개도국"
대우를 받고 있다는 점.
보조금부문에서는 2000년까지 유예적용을 받을 수 있어 세피아의 관세와
내국세를 면제해 주는 것이 협정위반이 아니라는게 인도네시아측의 판단이다.
기아자동차도 느긋하다.
"WTO의 분쟁해결절차가 짧아야 27개월, 길게는 39개월 걸린다는 점을 감안
하면 3년간의 국민차 독점권에는 별다른 타격이 없다"(기아자동차 P부장)는
것이다.
변수는 미국이다.
내국법인 통상법 301조를 걸어 조사에 나선 미국은 WTO 결정에 기대하기
보다는 쌍무차원의 압력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손해를 보고 있는 일본이 "미국 끌어들이기"에 신경
써온 것도 그런 배경에서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정부는 아직까지는 요지부동이다.
"인도네시아정부는 국민차사업에 상상을 초월하는 애착을 갖고 있다"(김승안
부사장)는 것.
지난 20년간 이 나라 자동차시장의 90% 이상을 장악해온 일본업체들이
기술이전을 회피해 오히려 인도네시아 자동차산업을 망쳐 놨다고 믿기 때문
이다.
"단순히 드라이버나 돌리고 있기보다는 실질적인 자동차산업을 일으키고
싶다"(산요토 투자성장관)는게 국민차 구상의 출발점이다.
"스승(일본업체)은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지만 제자(기아자동차)는 그렇지
않은 것 같다. 그러니 제자에게서라도 배워야 하질 않는가"(텅키 상공부
장관)라고까지 말하고 있다.
어쨌든 기아자동차는 완성차 수출과 함께 10월말께 현지공장을 착공할
계획이다.
98년3월에는 "인도네시아산 세피아"를 꼭 만들어 내겠다는 각오다.
인도네시아정부도 2003년 아시아자유무역협정(AFTA)이 출범하기 전까지
반드시 독자기술로 자동차를 만들어내겠다는 계획이다.
그런 점에서 인도네시아 국민차 사업의 향후진로가 더욱 관심을 모으고
있다.
< 김정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7일자).
소용돌이에 휘말리면서 이 합작 프로젝트의 앞날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이 프로젝트는 기아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아
왔다는 점에서 국내외업계의 이목이 쏠려 있다.
유럽연합(EU)은 지난3일 세계무역기구(WTO)에 인도네시아 국민차사업을
공식 제소했다.
이에 앞서 일본 통산성도 WTO 제소를 결정했으며 미국도 WTO에 제소키로
하는 한편 자국의 통상법 301조 적용(미국업체의 상대적 불이익)을 위한
조사에 나서겠다고 발표했다.
미 일 EU 등이 그동안 구두경고로 그쳤던 반발을 이처럼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기고 나선 것은 기아의 세피아(현지명 티모르)가 지난 1일부터 현지판매에
들어가면서 국민차사업이 공식적으로 시작됐기 때문.
기아 아산만공장에서 생산된 세피아는 현지 경쟁차종의 절반값인 대당
3천5백만루피아(1만5천달러)의 가격에 판매돼 이미 3만대 이상이 계약됐을
정도다.
말그대로 폭발적인 인기다.
반면 국민차 계획이 발표된 지난2월 이후 선진국업체들의 현지조립공장
생산량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특히 이 시장을 독점해오다시피한 도요타등 일본업체들의 타격은 더욱 크다.
인도네시아정부는 앞으로 3년간 기아 현지합작사인 TPN사에만 국민차사업권
을 인정한다는 방침이어서 이들의 입지는 더욱 약해질 수밖에 없다.
자동차업계는 동남아가 21세기면 세계 자동차수요의 3분의1을 소화하는
거대시장이 될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특히 현재 연간 40만대의 수요로 매년 20%에 가까운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자동차시장은 동남아 성장의 "기관차"다.
그런 시장에서 3년간 "물을 먹는다"면 그 이후도 보장할 수 없게 되는 셈.
미 일 EU가 공동전선을 펴가며 인도국민차사업을 저지하고 나선 것은 그런
이유에서다.
문제는 인도네시아의 대응전략이다.
인도네시아정부가 혹시 있을지도 모르는 선진국의 경제보복을 무릅쓰고라도
국민차사업을 예정대로 밀고나갈 수 있을까.
인도네시아정부의 입장은 아직 확고하다.
"선진국들이 WTO에 제소하건 안하건 기아자동차가 향후 3년간 인도네시아
국민차사업에서 유일한 독점적 지위를 갖게 된다"(산요토 인도네시아
투자성장관)는 것.
기아자동차에서 이 사업을 전담하고 있는 김승안부사장도 "인도네시아
정부가 WTO제소에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정부가 믿고 있는 것은 인도네시아가 WTO체제하에서 "최빈개도국"
대우를 받고 있다는 점.
보조금부문에서는 2000년까지 유예적용을 받을 수 있어 세피아의 관세와
내국세를 면제해 주는 것이 협정위반이 아니라는게 인도네시아측의 판단이다.
기아자동차도 느긋하다.
"WTO의 분쟁해결절차가 짧아야 27개월, 길게는 39개월 걸린다는 점을 감안
하면 3년간의 국민차 독점권에는 별다른 타격이 없다"(기아자동차 P부장)는
것이다.
변수는 미국이다.
내국법인 통상법 301조를 걸어 조사에 나선 미국은 WTO 결정에 기대하기
보다는 쌍무차원의 압력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손해를 보고 있는 일본이 "미국 끌어들이기"에 신경
써온 것도 그런 배경에서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정부는 아직까지는 요지부동이다.
"인도네시아정부는 국민차사업에 상상을 초월하는 애착을 갖고 있다"(김승안
부사장)는 것.
지난 20년간 이 나라 자동차시장의 90% 이상을 장악해온 일본업체들이
기술이전을 회피해 오히려 인도네시아 자동차산업을 망쳐 놨다고 믿기 때문
이다.
"단순히 드라이버나 돌리고 있기보다는 실질적인 자동차산업을 일으키고
싶다"(산요토 투자성장관)는게 국민차 구상의 출발점이다.
"스승(일본업체)은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지만 제자(기아자동차)는 그렇지
않은 것 같다. 그러니 제자에게서라도 배워야 하질 않는가"(텅키 상공부
장관)라고까지 말하고 있다.
어쨌든 기아자동차는 완성차 수출과 함께 10월말께 현지공장을 착공할
계획이다.
98년3월에는 "인도네시아산 세피아"를 꼭 만들어 내겠다는 각오다.
인도네시아정부도 2003년 아시아자유무역협정(AFTA)이 출범하기 전까지
반드시 독자기술로 자동차를 만들어내겠다는 계획이다.
그런 점에서 인도네시아 국민차 사업의 향후진로가 더욱 관심을 모으고
있다.
< 김정호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