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올라 불안한 STO 관련주…"이거 돈 되는 사업 맞을까요?"

2일 핀테크업체 갤럭시아머니트리 주가는 11.11% 급등한 7800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는 STO 사업을 하는 블록체인업체 갤럭시아넥스트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 갤럭시아머니트리는 당국이 STO 허용 방침을 밝힌 지난달 중순 이후 60% 이상 올랐다.
케이옥션(8.48%)과 서울옥션(5.84%)도 이날 주가가 훌쩍 뛰었다. 조각투자를 접목할 수 있는 예술품 거래를 중개하는 회사여서다. 우리기술투자(4.19%)와 비덴트(5.27%)도 상승했다. 두 회사는 각각 업비트와 빗썸 지분을 갖고 있어 '가상자산 테마주'로 분류된다.

국내에서는 2018년 '코인 광풍' 당시 정부가 ICO를 금지하면서 STO도 불가능했다. 조각투자의 경우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예외적으로 허용된 것이다. 오재영 KB증권 연구원은 "STO는 리츠(REITs)와 상장지수펀드(ETF)처럼 새로운 영역의 금융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업계의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시장조사업체 쟁글의 장경필 연구원은 "STO의 최대 수혜자는 기존 증권사"라고 설명했다. STO를 활용하면 이론적으로 상업용 빌딩, 예술품, 명품 잡화, 지식재산권 등 모든 자산을 토큰으로 바꿀 수 있다. 홍성욱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부동산, 선박금융 등 대체투자 자산 쪽에서 토큰화에 대한 관심이 높을 것"이라며 "발행자로서는 자금 조달 경로가 다양해지는 점이, 투자자로서는 새로운 자산에 접근 가능해지는 점이 매력"이라고 했다.
증권사들은 증권형 토큰의 발행·상장을 도와주고 개인 투자자들이 사고팔게 하면 수수료를 벌어들일 수 있다. 사실상 '0%'에 수렴하고 있는 주식 거래 수수료를 대체할 새 수입원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STO로 열릴 신시장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이 몇몇 기업 주가를 과도하게 끌어올리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증권사가 당장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영역은 아니기 때문이다. 장 연구원은 "미국 STO 시장도 아직까지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이 사실"이라며 "매력적인 상품과 풍부한 유동성을 갖추고 투자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경자 삼성증권 연구원은 "세계적으로 증권형 토큰에 대한 정확한 정의나 법적 개념이 정의되지 않은 상태"라며 "가이드라인 내용을 살펴봐야겠지만 금융당국의 이번 발표는 블록체인 생태계를 키우겠다는 선언적 의미가 강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