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韓美서 2025년 바이오시약 생산 추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량수입 트리스버퍼 국산화
CMO보다 높은 수익성 기대
CMO보다 높은 수익성 기대
한화그룹이 1100억원의 바이오 시약(트리스버퍼) 생산시설 투자로 7년 만에 바이오사업에 다시 불을 지폈다. 업계에선 추가 투자를 통해 바이오시약 사업의 포트폴리오를 더 확대할 것으로 전망했다. 대기업의 바이오의약품 소재 분야 진출은 작년 12월 한솔그룹이 삼성바이오로직스 공급업체(수산화칼륨) 바이옥스를 인수한 이후 이번이 두 번째다.
한화그룹은 바이오산업에서 실패한 경험이 있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2009년 경영전략회의에서 “미래 성장을 담보할 바이오사업에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듬해엔 “바이오와 태양광을 양대 축으로 삼아 10년 뒤(2020년) 매출 140조원, 영업이익 5조원을 실현하겠다”고 발표했다. 한화케미칼은 2014년 류머티즘관절염 치료제 엔브렐의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다빅트렐을 독자 개발했다. 셀트리온에 이은 국내 두 번째 바이오시밀러다.
하지만 오리지널 개발사의 특허 연장, 미국 머크와의 기술 수출계약 해지, 그룹의 주축인 석유화학 업황의 악화 등 예상치 못한 복병을 만나 바이오사업을 접어야 했다. 2013년 제약 계열사 드림파마를 알보젠에 팔고 2015년 바이오시밀러 공장도 바이넥스에 매각하면서 2016년 바이오사업에서 완전히 철수했다. 1996년 제약바이오사업에 진출한 지 20년 만이었다.
하지만 삼성 SK LG 롯데 CJ 등 주요 대기업그룹이 잇달아 바이오 투자를 확대하면서 한화그룹도 기존 강점을 활용해 바이오산업에 재진입할 방안을 고민하기 시작했다. 바이오는 영업이익률이 20~50%로 6% 안팎인 기존 제조업 대비 월등히 높은 데다 기술 진입장벽도 높아 대표적인 미래 신수종산업으로 꼽힌다.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2023년 662조원에서 2027년 887조원으로 연평균 6.2% 성장할 전망이다.
트리스버퍼 생산 기술은 암모니아 등 화학물질을 잘 다루는 한화그룹의 강점과 맥이 닿아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제약·바이오 및 화학업종 기업의 단백질·미생물 기반 연구 시 필수 소재인 트리스버퍼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도 한화그룹 진출의 배경이 됐다는 분석이다. 재계 관계자는 “한화그룹이 바이오의약품의 틈새시장을 잘 노린 것”이라며 “대부분 대기업이 공략하고 있는 의약품위탁생산(CMO) 분야보다 훨씬 수익성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한화그룹은 바이오산업에서 실패한 경험이 있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2009년 경영전략회의에서 “미래 성장을 담보할 바이오사업에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듬해엔 “바이오와 태양광을 양대 축으로 삼아 10년 뒤(2020년) 매출 140조원, 영업이익 5조원을 실현하겠다”고 발표했다. 한화케미칼은 2014년 류머티즘관절염 치료제 엔브렐의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다빅트렐을 독자 개발했다. 셀트리온에 이은 국내 두 번째 바이오시밀러다.
하지만 오리지널 개발사의 특허 연장, 미국 머크와의 기술 수출계약 해지, 그룹의 주축인 석유화학 업황의 악화 등 예상치 못한 복병을 만나 바이오사업을 접어야 했다. 2013년 제약 계열사 드림파마를 알보젠에 팔고 2015년 바이오시밀러 공장도 바이넥스에 매각하면서 2016년 바이오사업에서 완전히 철수했다. 1996년 제약바이오사업에 진출한 지 20년 만이었다.
하지만 삼성 SK LG 롯데 CJ 등 주요 대기업그룹이 잇달아 바이오 투자를 확대하면서 한화그룹도 기존 강점을 활용해 바이오산업에 재진입할 방안을 고민하기 시작했다. 바이오는 영업이익률이 20~50%로 6% 안팎인 기존 제조업 대비 월등히 높은 데다 기술 진입장벽도 높아 대표적인 미래 신수종산업으로 꼽힌다.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2023년 662조원에서 2027년 887조원으로 연평균 6.2% 성장할 전망이다.
트리스버퍼 생산 기술은 암모니아 등 화학물질을 잘 다루는 한화그룹의 강점과 맥이 닿아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제약·바이오 및 화학업종 기업의 단백질·미생물 기반 연구 시 필수 소재인 트리스버퍼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도 한화그룹 진출의 배경이 됐다는 분석이다. 재계 관계자는 “한화그룹이 바이오의약품의 틈새시장을 잘 노린 것”이라며 “대부분 대기업이 공략하고 있는 의약품위탁생산(CMO) 분야보다 훨씬 수익성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