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재규 한국투자신탁운용 대표가 19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한국투자의 힘' 세미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한국투자신탁운용
배재규 한국투자신탁운용 대표가 19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한국투자의 힘' 세미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은 19일 오전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에서 '한국투자의 힘 투자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주주행동주의와 기술주 상승 등 국내 주식시장을 둘러싼 현안들을 다루기 위해 마련됐다.

배재규 한국투자신탁운용 대표는 이날 인삿말을 통해 "지금은 빅테크 기업이 지배하는 시대가 됐고 반도체는 이런 기술 발전을 위해 없어선 안 될 산업"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약탈적인 상속세는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의 주된 요인이지만 이와 별도로 주주 친화 정책을 펴면서 주가를 높여가는 방법도 있다"고 밝혔다.

세마나 연사로는 이창환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 대표와 이형수 HSL파트너스 대표가 나섰다. 이창환 대표는 주주행동주의 투자 영역에서, 이형수 대표는 정보기술(IT)·반도체 투자 분야에서 전문가로 꼽힌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이 19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에서 '한국투자의 힘' 세미나를 개최했다./사진=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이 19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에서 '한국투자의 힘' 세미나를 개최했다./사진=한국투자신탁운용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이창환 대표는 주주행동주의를 '당연한 것'으로 규정했다. 주주가치를 높이고 자기 재산을 보호하는 것은 투자자로서 당연히 해야 하는 일이라는 얘기다. 그는 "세계 최고 수준의 상속세율, 높은 배당소득세율은 문제"라면서도 "우리 증시 저평가는 취약한 기업 지배구조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했다.

주주행동주의 실현을 위한 최대 걸림돌로는 현행 상법 등을 꼽았다. 상법 제382조의3에선 이사에게 회사를 위해 그 직무를 충실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충실의무를 지우고 있다.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에 회사만 넣을 것이 아니라, '주주'도 포함시켜야 한다는 게 이 대표를 비롯한 소액주주들의 오랜 주장이다.

그는 "미국 등 해외와 달리 국내 상법이나 판례가 이사의 수탁자 의무를 주주가 아닌 회사에 관해서만 규정하고 있다"며 "법적인 근거를 재정립하는 게 무엇보다 우선인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의 경우 이사가 주주의 비례적 이익을 침해하면 소송을 당할 수 있어 주주에 대한 법적 의무가 강하다. 이창환 대표는 "최근 개인투자자 증가와 상법·자본시장법 개정 등으로 국내에서도 주주가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며 "소액주주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빠르게 결집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2015년 124건에 불과했던 주주제안 수는 2021년 315건으로 급증했다.

두 번째 발표를 맡은 이형수 대표는 "올 상반기에는 인공지능(AI)과 메모리 사이클의 바닥이 중첩되면서 반도체주가 급등했지만, 하반기는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다"며 "스마트폰과 PC, 일반 서버의 수요가 회복되며 전공정 관련주의 키 맞추기가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고대역폭메모리(HBM)가 반도체 시장을 완전히 바꿀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기존 D램 제품과 달리 HBM은 고객사의 주문에 따라 생산된다"며 "연간 단위로 주문하기에 가격 변동성이 낮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HBM 시장은 향후 5년간 연평균 80%씩 성장할 것"이라며 "관련 기업의 멀티플(배수) 재평가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변화한 국내 주식시장에 맞는 투자전략도 제시됐다. 김기백 한국투자신탁운용 부장은 "기업들의 지배구조·주주환원 기조 변화는 기업가치 증대로 이어질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면서 기업의 주주환원 및 지배구조 변화에 관심 많은 투자자들의 경우 주주환원 관련 ETF에 투자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곽찬 한국투자신탁운용 수석은 "보조금 축소, 충전 인프라 관련 문제로 전기차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며 "자사 한국투자테크펀드는 2분기부터 포트폴리오에서 2차전지 비중을 줄였다"고 말했다. 이어 "하반기 반도체 업황이 되살아나며 반도체 생산을 위한 부품 구매가 이어질 것"이라며 "포트폴리오에서 국내 반도체 공급망관리(SCM) 기업 비중은 선제적으로 확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