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단체 성명·기자회견 잇따라…"교권침해 넘어 공교육 붕괴"
교총 "서울 서초구 교사 사망, 철저히 수사해서 진상 밝혀야"(종합)
서울 서초구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교내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한 사건과 관련해 교원단체는 20일 "관계 당국은 철저한 사실 규명을 통해 조속히 진상을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이날 성명을 내고 "경찰 수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온라인에서는 해당 교사가 학교폭력 업무를 담당하면서 특정 학부모의 지속적인 민원에 시달렸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고 밝혔다.

교총은 "극단선택을 하기까지 고인이 겪었을 고통을 생각하면 비통함을 금할 수 없으며 전국의 모든 교육자와 함께 삼가 고인의 명복을 간절히 빈다"며 "정말 학교폭력 관련 학부모 민원이 원인이었는지 등을 철저히 수사하고 하루 속히 진상을 밝힐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교총은 "작금의 상황을 한 교사가 당한 참담한 교권 침해를 넘어 전체 공교육의 붕괴로 엄중히 받아들인다"며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와 무고성 악성 민원이 더 이상 발붙일 수 없도록 모든 수단을 동원해 총력 대응할 것임을 분명히 선언한다"고 밝혔다.

교총은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 악성민원 등 중대한 교권침해에 대해서는 시도교육청이 반드시 수사기관에 고발해 학교와 교원을 보호하고 사회에 경종을 울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교육부에는 교원이 교권침해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명시한 장관 고시를 마련하고 국회는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로부터 정당한 생활지도를 보호하는 법안을 통과시켜달라고 주문했다.

정성국 교총 회장은 이날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숨진 교사는 학교폭력 업무 담당이 아니었다'는 학교 측 해명에 대해 "이틀 사이에 학교에서 완벽하게 규정해서 입장문을 내는 것도 좀 빠르지 않나"라며 "(학폭 사안이 없었다고)단정할 수 없다.

아직 밝혀지지 않은 학부모와의 관계가 (보통 교사들 사이에서는) 많다.

민원이나 상담 대부분을 담임이 혼자 감당하고 품으려고 한다.

선생님들도 밝히길 꺼린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진보 교육감들이 도입한 학생인권조례도 교권 침해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며 "지난 몇 년 동안 지나치게 학생 인권이 강조되고 교원을 깎아내리는 분위기가 있다.

학생인권조례가 매우 강하게 적용해 이런 일이 벌어졌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전교조 서울지부도 성명서를 내고 "가장 안전해야 할 학교에서 가장 폭력적인 방식으로 구성원들을 떠나보내고 있다"며 "철저한 진상 조사와 안전하게 교육활동을 할 수 있는 책임 있는 대책을 조속히 마련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좋은교사운동도 "교육당국은 현장의 어려움을 교사 개인의 책임으로만 맡겨 둔 채,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며 "비극에 이르게 된 책임 소재와 구조적인 문제를 반드시 가려내고,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서울시교육청 정문 앞에는 전국의 교사 동료들이 보낸 근조화환 200여개가 놓이기도 했다.

화환에는 '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대한민국 교육도 죽었다', '진상 규명을 촉구한다' 등의 문구가 적혀 있었다.

교총 "서울 서초구 교사 사망, 철저히 수사해서 진상 밝혀야"(종합)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