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올해 도내 유휴지나 자투리땅에 마을정원 18곳을 추가 조성하는 등 '생활 속 정원문화 확산 정책'을 추진한다.

경기도는 '2023년 정원산업 시책' 예산으로 601억원을 편성해 ▲ 정원문화 확산 ▲ 도시숲 조성 ▲ 도립공원 운영 ▲ 지질공원 운영·관리 등의 분야별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우선 12개 시군에 공공형 5곳과 시민주도형(10인 이상 마을공동체 주체) 13곳의 마을정원을 조성한다.

ADVERTISEMENT


마을정원은 유휴지, 자투리땅, 환경정화·복원지 등에 정원을 조성하고 지속해서 가꿔가는 사업이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수원·양평 등 22개 시군에 82곳이 조성됐다.

ADVERTISEMENT


아울러 도는 미세먼지 차단 숲 7.9ha, 도시 바람길 숲 1곳, 서해안 녹지 벨트 6.8ha, 가로 숲길 44.6㎞, 그린커튼(벽면녹화) 1.5㎞, 통학로 자녀안심 그린 숲 14곳, 학교 숲 21곳 등을 조성한다.

연인산도립공원과 수리산도립공원에는 자연환경 해설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국내 4번째로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된 한탄강 세계지질공원은 올해 유네스코의 권고안을 이행하고 재인증을 통해 세계지질공원 지위를 유지할 계획이다.

또 정원의 가치 공유와 정원문화 확산을 위해 올해 10월 제11회 경기정원문화박람회를 광명 새빛공원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ADVERTISEMENT


이밖에 조경가든대학 270명과 시민 정원사 150명을 양성하고, 이들을 학교·복지시설·임대주택 등의 정원관리를 위한 자원봉사 활동에도 활용할 예정이다.

설종진 도 정원산업과장은 "도민의 관심에 부응하고 민선 8기 도정 철학을 구현하고자 공원녹지과를 정원산업과로 조직 개편한 만큼 언제 어디서든 정원을 접할 수 있는 경기도를 만들고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